오는 4월 익산에 이어 2007년부터는 전주와 남원 지역 주민들도 전철을 통한 고속열차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또 오는 2010년까지는 전라선 복선 전철화가 완료돼 전라선을 활용한 물류 수송에도 다소 숨통이 트이게 된다.
재경부와 건교부 해양부 산자부 등 18개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는 2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오는 2006년까지 전라선을 전철화하여 전주, 순천까지 고속열차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날 발표는 도로 위주의 수송체계를 철도 중심의 대량·장거리 수송체계로 전환하고 시설간 연계를 통해 국가의 물류체계를 획기적으로 개편하겠다는 내용의 '국가물류체계 개선대책'에 담긴 것. 물류체계 개선대책에는 △2008년까지 경전선(삼랑진-마산) 복선전철화 △전국 18개 물류거점 철도 인입선 연결 △서부 남부 동부를 연결하는 물류 간선 철도망 구축 △2006년까지 국가물류종합 정보망 구축 등이 함께 포함돼 있다.
전라선은 현재 전체 1백54.2㎞ 구간중 신리-순천간 1백19㎞는 2003년까지 개량사업이 완료됐고 신리-익산 35.2㎞는 롯데건설에서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06년까지 전라선 구간을 단선 전철화한 뒤 2010년까지 2단계 사업을 통해 복선 전철화를 마무리 짓겠다는 것으로 민간투자사업은 현재 PICKO(국토연구원 민간투자지원센터)의 검토를 거쳐 철도청-건교부-기획예산처의 심의 단계에 있다.
전북도는 전라선 복선전철화가 마무리되면 물류비용을 절감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운행시간을 단축, 철도이용객에게 쾌적한 수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이 로드맵이 아니라 구체적인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총선을 앞둔 선심성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