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를 둘러싸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도내에서도 시민단체를 주축으로 '아파트 분양가 공개 모임'이 발족돼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전주경실련과 전북아파트공동체연구소 및 주부클럽전주·전북지회 소비자고발센터가 중심이 된 이 모임은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는 소비자가 요구할 수 있는 당연한 권리”라며 분양가 공개를 의무화 할 수 있도록 입법청원활동을 펼쳐나가겠다고 천명했다. 이미 수도권 시민단체를 비롯한 전국의 관련단체에서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 요구가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사이버 공간에서도 주택 소비자들의 성난 목소리가 날로 커지는 것을 고려하면 이 모임의 결성이 오히려 때 늦은 감이 없지 않다. 이런 저런 이유를 들어 정부가 직접 개입을 회피하고 있지만 '시민의 힘'이 얼마나 강한지 조직적이고 지속적으로 이 운동을 전개, 집없는 시민들의 한을 풀어주기 바란다.
주택건설업체들은 분양원가 공개문제는 시장원리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의 원가 공개는 원칙에 어긋날 뿐아니라, 원가 공개를 하여 가격을 내리면 결국 소비자가 아닌 투기꾼들이 이익을 가져간다는 것이다. 그들은 또 과거에 정부가 아파트 분양가를 규제하고 원가연동제도 실시해 봤지만, 부실문제가 발생하고 시중가보다 싼값 때문에 투기만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강변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주장은 서민의 입장에서 보면 자기합리화를 위한 궤변에 지나지 않는다. 힘없는 소비자의 처지로는 주택업체가 결정한 분양가에 속수무책으로 따라다닐 수 밖에 없고, 또 분양가가 인상되면 필연적으로 기존 집값을 끌어올려 집없는 서민들의 고통을 가중시킨다. 아무리 자본주의 사회가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라고 하지만 어느 나라가 국민들 '먹고 사는'일에 나몰라라하고 뒷짐만 지고 있단 말인가. 흉년이 들어 농산물 값이 오르면 농민들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수입을 하여 가격을 떨어뜨려주는 것은 무슨 이유인가. 그것은 편의재(材)가 아니라 필요재이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나라 아파트 분양가가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심지어 공기업이라는 토공과 주공까지 부동산 투기꾼처럼 이득을 챙기고 있는 마당에 민간부문은 오죽하겠는가마는, 한때 비정상적이면 나중에 반드시 그 대가를 치른다는 점을 명심하여 스스로 바로잡아주기 바란다. 분양원가를 공개하라고 하는 것은 폭리를 취하지 말라는 것이지 정상적인 이익을 취하지 말라는 말이 아니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