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레미콘 업계가 납품가격 인상을 요구하며 시한부 파업을 결의, 철근·모래·골재에 이어 레미콘 파동을 예고하고 있다.
레미콘공업협동조합은 11일 건설업체들이 덤핑납품을 부추기면서 도내 레미콘 납품가격이 표준단가에 크게 못미쳐 업계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레미콘조합 관계자는 이날 "지난 97년 이후 원유 등 각종 원자재가격이 약 30% 이상 상승했지만 레미콘 가격은 7년째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최근에는 골재가격도 큰폭으로 올라 민간 납품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도내 레미콘 민수가격은 지역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전주·군산·익산지역 등의 경우 업계가 정한 표준단가의 65∼70% 수준에 그치는가 하면 업계 가동률은 전국 평균 39%에 크게 못미친 26%에 머물러 업계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건설업계가 레미콘업계의 경영난을 악용, 업체들간 경쟁을 부추겨 덤핑납품토록 유도했기 때문이라고 조합측은 설명했다.
이에따라 레미콘 업계는 표준단가의 약 80% 수준까지 납품가격을 인상해줄 것을 건설업계에 강력 촉구하면서 오는 15일부터 17일까지 시한부 파업에 돌입키로 결의, 일부 현장의 경우 공사중단 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최근 철근파동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레미콘 파동까지 겹치면 공사비 부담이 가중된다”며 "원자재 가격 상승의 악순환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