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병원의 스트레스 홧병 클리닉에 젊은 사람들, 직장 남성들이 많아지고 있다. 과거 가정내의 갈등 특히 남편이나 부모와의 관계에서의 문제로 인한 홧병 환자가 주를 이루던 것과는 조금 달라진 모습이다. 현대사회에서 직장생활은 업무의 특성, 대인관계에서의 문제, 직장내 역할의 모호성, 경제적 어려움, 고용의 불안정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 요인을 가지고 있다. 우리 사회가 최근 들어 경제가 어려워지고, 과거와 달리 고용의 안정성이 줄어들면서 스트레스의 강도가 커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이유로 직장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정신적 신체적 불편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는 대부분 맥박과 혈압을 증가시키고 낮밤이 바뀐 근로조건은 체내 대사의 이상을 가져오게된다. 또한 바쁘고 눈치보는 생활이 계속되는 직장인에게서 피로, 불면증, 두통, 현기증, 가슴이 뛰고 숨막히고 속쓰리고 소화가 안되고 변비 설사가 반복되는 등의 신체적 고통을 호소하게된다. 뿐만 아니라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는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긴장을 고조시키고 직장에 대한 만족감을 저하시키며 일의 능률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런 심리적 영향이 심해지면 우울증이나 대인관계에서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변화들은 심리적 신체적 불편감을 일으키며 일의 수행능력을 저하시키고 퇴직이나 사고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병원을 찾는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양상은 다양해서 두통이나 피로 소화장애 등의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기도 하고, 가슴 두근거림이나 불면을 호소하기도 하며, 직장생활을 유지하기 힘들 정도의 무력감이나 대인관계의 문제를 호소하기도 한다.
직장스트레스 해소법을 간단히 소개하면 우선 규칙적인 생활로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늦은 귀가나 음주 등은 피하고 가벼운 운동이 도움이 된다. 또한 자신의 장점이나 약점 성공이나 실패에 처해있을 때 자신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이든지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친구를 가까이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직장 밖에서 취미활동 같은 창조적 활동, 의미 있는 활동이 도움이 된다. 직장 일을 가정으로 가져오지 않도록한다. 최근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명상, 바이오피드백 등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직장스트레스가 심해져서 두통 불면 가슴 두근거림 상열감 등의 신체적 증상이 심해지거나, 일상적인 가정 및 직장생활에 지장을 받는 정도라면, 또한 심리적 고통이 심하거나 스트레스 문제를 술에 의존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면 병원에서의 치료를 받아야한다.
/김락형 (우석대 부속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