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백화점 파문 후폭풍 분석

 

전주시에서 전북도에 올린 교통영향평가 안건이 줄줄이 부결되거나 아예 상정조차 되지 않아 롯데백화점 파문이후 도 교통영향평가가 깐깐해졌다는 지적이다.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15일 도 교통영향평가위원회에 상정한 송천지구 아파트 건립과 우아1동 옛 축협건물 리모델링 등 2건이 교통소통대책 미흡 등으로 부결되고 호성동 골프장 등 2건은 도에서 위원회에 상정하지 않았다.

 

도 교평위는 송천지구 LG자이 아파트의 경우 아파트 전면 길이가 95m로 지구단위계획에서 제한한 80m보다 15m가 길고 부출입구 가감차선 미확보 및 버스승강장 위치 부적정 등을 이유로 재보완하도록 했다.

 

우아 1동 옛 축협청사를 리모델링한 17층 규모의 주상복합건물 역시 진출입로가 인후아파트쪽에 집중됨에 따라 교통혼잡이 우려된다며 진출입로 동선과 주차장 진입로를 분리해 재상정하도록 했다.

 

특히 G업체에서 추진한 호성동 차량등록사업소 옆 아파트 건립의 경우 이미 기존 업체에서 교평을 마쳤으나 단지 재배치 등을 보완, 이번에 교통영향평가를 신청했지만 사업자 승계 불분명 등을 이유로 위원회에 아예 상정하지 않았다.

 

호성동 골프장 건립사업은 용역업체 관계자가 참석하지 않아 안건 상정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처럼 도 교통영향평가가 예전과 달리 철저해진 것은 롯데백화점 교통영향평가 잘못으로 도와 시 관계자들이 징계처분을 받은데다 교통대책 논란이 계속 증폭되고 있는데 따른 후폭풍으로 풀이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전반적인 교통 흐름위주로 보아오던 도 교통영향평가가 세세한 부분까지 꼼꼼히 정밀 검토하는 것 같다”며 "앞으로 교평통과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