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간 활황을 구가하던 건설업이 정부의 잇단 부동산 대책에 영향을 받은 듯 제조업 부문의 호조 국면과는 대조적으로 성장세가 꺾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이 30일 내놓은 '2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2월 중 국내 건설기성액(공사 실적)은 전년 동월 대비 5.4% 증가에 그쳐 전체 산업생산 증가율 16.6%를 크게밑돌았다.
이미 지난 1월 증가율이 6.1%로 급락하며 2002년 10월 이후 15개월이나 지속되던 두자릿수 증가 행진을 마감한데 이어 증가율 둔화가 더욱 심화된 것이다.
건설경기의 핵심 지표인 국내 건설 기성액은 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계속된 부동산 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하며 2001년에 전년 대비 10.0% 성장한 것을 시작으로 2002년과 2003년 각각 11.2%, 18.8% 증가하는 등 3년 연속 가파른 성장세를 거듭해왔다.
특히 지난해에는 국내총생산(GDP) 성장기여율이 19.2%에 달하는 등 내수와 설비투자가 극도로 부진한 가운데 건설은 국내 경기를 지탱하는 주요한 축으로 구실해왔다.
그러나 지난해 '10.29 대책'으로 정점을 이룬 부동산 대책이 서서히 효력을 발휘하며 건설경기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예측이 대두됐으며, 이번 결과는 이를사실로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도 취임 전부터 정부의 강도높은 부동산 대책에 비판적 입장을 피력하면서 "올 하반기부터 건설업계의 현금 흐름에 문제가 있을수도 있다"고 경고했었다.
통계청은 그러나 건설업의 불황국면 진입 가능성에 대해 아직 유보적인 입장을취하고 있다.
건설 기성액 증가율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나 과거 3년간 활황이 누적된 상태인데다 업종 특성상 1,2월이 워낙 비수기여서 이 지표만으로 진단을 내리기는 곤란하다는 설명이다.
통계청 신승우 산업동향과장은 "공사실적이 3년 연속 두자릿수 증가를 했다는것은 기본 수준이 대단히 높다는 증거"라고 전제하고 "이같은 상황을 감안한다면 건설부문만 무한정 가파른 증가세를 이어갈 수는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