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따구리]남원의료원이 사는 길

 

경영난을 겪고 있는 남원의료원이 향후 운영방안을 놓고 진통을 겪고 있다.

 

적자 경영이 계속되면서 정상화를 위해 민영화나 매각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민영화나 매각의 불을 지핀 것은 전라북도였다. 전북도는 지난 해 도내 공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영평가를 통해 남원의료원의 독자 생존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민영화나 매각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즉 돈을 벌지 못하는 만큼 적자생존의 원칙에 따라야 한다는 얘기다.

 

민영화나 매각은 IMF 이후 공기업의 경영개선을 이룰 수 있는 유력한 방도로 이용돼 왔고 실제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특히 방만한 운영으로 물의를 빚던 공기업에게는 더 없이 좋은 대책으로 평가 받아왔다.

 

그러나 남원의료원은 상황이 다르다. 일반 기업이나 공기업처럼 수익성보다는 공익성의 성격이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남원의료원은 의료 혜택을 받기 어려운 농촌의 저소득층 환자에게 최소한의 행복추구권을 보장해줘야 한다는 사회복지적인 측면에서 태동한 기관이다.

 

물론 여기에 덧붙여 흑자까지 낼 수 있다면 더 할 나위가 없겠지만 민간병원에 비해 저렴한 진료비와 환자수가 많지 않다는 농촌의 특성을 감안하면 쉽지 않은 일이다.

 

더구나 민영화나 매각을 하게 되면 그 피해는 현재의 주 이용계층인 농촌의 저소득층 서민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결국 남원의료원의 정상화는 민영화나 매각이라는 극단적인 방법보다는 당초의 설립 취지를 어떻게 지키면서 적자 규모를 최소화할 것인가에 맞춰져야 한다. 공익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업의 형태를 띠면서 경영개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얘기다.

 

비효율적인 경영 요소를 제거하고 직원들의 임금 조정이나 정년 단축 등과 같은 자구책을 먼저 강도 높게 진행한 뒤에 민영화 또는 매각을 얘기하는 것이 순서고 순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