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어청도ㆍ고창 해리 등 주민
5월말로 마감되는 방폐장유치 주민청원을 앞두고 최근 군산시와 고창군 일부지역 주민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도는 이들 지역의 주민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주민청원이 접수될 경우에 대비하여 방폐장유치 전략 등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다.
전북도 고위 관계자는 6일 "고창군 해리면에서 주민청원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유치청원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군산지역에서도 어청도 등 섬 지역을 중심으로 일부 활동이 진행되고 있어 5월말이 지나면 도내 방폐장사업 대상지가 2∼3곳으로 늘 수도 있다는게 전북도의 분석이다. 방폐장 유치청원은 읍·면 단위 주민의 1/3 이상만 동의하면 가능하기 때문에 시·군 단위에 비해 주민의 의사결집이 쉽고 단체장의 개입 없이도 가능하다.
도와 산자부는 현재 경북 울진군과 강원도 삼척시, 전남 완도군·영광군 등에서 주민 유치청원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다른 지역의 유치청원이 부안 주민투표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도는 부안군 위도면의 경우 이미 예비신청이 끝난 단계이기 때문에 주민 유치청원이 접수되는 다른 지역에 비해 '우선권'이 인정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군산이나 고창지역에서 주민청원이 접수될 경우 이들 지역을 함께 끌어안고 나가되 우선은 위도지역에 무게를 둔다는 방침이다.
도는 오는 14일 전주에서 열리는 정부합동설명단의 방폐장유치 설명회에서 주민의 반응과 유치청원 가능성 등을 살펴본 뒤 구체적인 방폐장 유치 로드맵을 만들 계획이다.
또 현재 산자부가 마련하고 있는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등에 관한 특별법안은 '내용이 지나치게 일반화 되어 있어 각 지역의 주민 유치청원을 이끌어 내는 효과가 의문시 된다'며 지원내용을 보다 강화하고 구체화할 것을 산자부에 요구키로 했다. 산자부안에는 당초 검토되었던 유치지역 주민에 대한 피해보상이나 한수원 본사이전, 양성자가속기사업 등이 삭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전북도의 목표는 방폐장을 도내 지역에 유치하는 것”이라며 "가장 먼저 유치신청을 접수한 위도면의 입장을 존중하되 굳이 위도에만 매달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