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한방산업육성 정책이 바탕부터 흔들리고 있다.
타시도에 앞서 전북도가 한방산업육성 계획을 마련하고도 정부의 권역별 한방산업추진 방침의 벽을 넘지 못하면서다.
전북도는 지역 한방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비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호남권의 공동계획수립 참여가 불가피하다며, 공동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전북도는 시도간 핵심 분야를 자기 지역으로 유치하려 할 경우 이를 조정하기 쉽지 않고, 지역별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시도 단위로 추진돼야 한다며 그동안 권역별 사업 추진에 반대했었다.
도관계자는 "권역별 사업추진 방법이 비현실적이라는 데는 지금도 마찬가지 생각이지만 보건복지부의 권역별 추진방침이 확고한 상황에서 불이익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방침 선회의 배경을 설명했다.
3개 권역중 영남권의 경우 대구 경북이 공동용역을 완료했고, 중부권의 경우 강원도 주관 아래 충북 충남 경기도가 중부권 한방산업단지 추진협의회 구성을 합의해 권역별 추진이 이미 대세라는 배경도 곁들였다.
그러나 권역별 공동 용역이 이루어지더라도 보건복지부의 구체적 사업지원 방침이나 관련 예산 지원 계획이 나와 있지 않고, 도내에서 추진되는 한방산업 관련 사업들이 보건복지부 뿐아니라 교육부·과기부·산자부 등 여러 다른 부처와 연계된 점 등을 감안할 때 전북도의 일방적인 '항복 선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전북도의 경우 한국한의학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해 최종 결과를 바탕으로 이미 사업기본계획을 수립해 일부 사업들을 구체화 상태며, 각 시군들도 용역 결과에 따라 개별 사업에 나선 상황에서 혼선만 야기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도내 4개 상공회의소까지 반대 건의문을 제출하는 등 전북도가 권역별 육성계획에 기본적으로 반대하는 것은 전북의 한방자원이 풍부한 점을 배경으로 해서다. 전국 11개 한의과 대학중 2개 대학이, 한약학과 3개중 2개가 전북에 있는 등 전통적으로 한방 관련 인력과 한약 관련 약재가 풍부해 특화산업으로 육성이 가능하다는 자신감에서다.
그러나 권역별 사업 추진이 이루어질 경우 시도간 나누어먹기식 사업이 불가피하고, 전북도의 강점이 묻힐 우려도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