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수년동안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LG전선(주) 군포공장의 전북이전 작업이 시간이 흐를수록 실타래가 풀리기는 커녕 오히려 꼬여가고 있다.
특히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그동안 중재자 역할을 담당했던 건교부가 최근 'LG 부지의 용도변경이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져 앞으로의 사업추진에 적지 않은 고난이 예상된다.
전북도에 따르면 건교부는 최근 LG전선(주) 군포공장의 용도변경이 주변여건 등으로 볼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을 내리고 첨단산업구조의 전환 등 공업지역 재정비 차원에서 검토가 요구된다는 의견을 토지공사에 전달했다.
건교부의 이같은 판단은 LG전선측이 군포공장 부지를 주거지역 또는 준공업지역으로 용도변경한 뒤 매각대금으로 전북이전 사업비를 충당하려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북도에 매우 불리한 상황이다. 군포공장 부지는 도시의 한 가운데 위치해 있어 공업용지가 아니라 사실상 일반용지 역할을 하고 있다.
LG전선 군포공장 부지의 용도변경이 사실상 어려워짐에 따라 앞으로 가능한 유일한 수단은 지구단위계획 수립 등을 통해 토지이용도를 높이는 방안. 그러나 현재의 일반공업지역 용도를 그대로 유지한 채 토지의 이용도를 높이는 것은 근본적인 한계가 있어 앞으로의 토지매각 협상에 적잖은 어려움이 따를 전망이다.
LG전선과 토지공사측은 지난 2002년에도 해당 부지의 용도변경을 보류한 채 '현 상태에서의 감정가격 매각'이라는 원칙에 따라 협상에 나섰으나 토지공사가 제시한 협상가격이 1천3백70억원으로 LG전선측과 무려 4백∼5백억원의 차이를 보여 매매가 이뤄지지 않았다.
전북도 관계자는 "LG전선 전북이전은 지역경제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 정부가 국가균형발전 제1호의 시범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는게 우리의 생각”이라며 "쉽지는 않겠지만 2∼3개월 기다려보면 무엇인가 성과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