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경지 활용 사료원료 자급해야"

 

올들어 3차례나 사료값이 크게 오르자 한우농가의 시름이 깊다.

 

김제 용지에서 한우 3백60두를 사육하는 오민수씨(60·중앙한우협회 고문)는 이번 사료업계의 사료값 인상에 대해 "축산농민만 죽이는 처사”라며 반발했다.

 

소값이 폭락하는데도 사료값만 올리면 축산농가는 설 곳이 없다는 것이다.

 

오씨는 "이대로 가면 조만간 한우 사육농가들의 부도가 속출할 것”이라고 전했다. 오씨는 사육두수가 많아 사료업체와 직거래를 통해 다른 농가보다 사료를 싸게 공급받고 있지만 계속 사료값만 인상하면 더 이상 농장경영이 어렵다는 얘기다.

 

사료값 인상과 관련, 오씨는 정부의 정책 부재를 강력 성토했다.

 

"외국에서 옥수수 등 사료 원료곡을 비싼 값에 수입함에 따라 사료가격이 계속 오를수 밖에 없는데도 사료에 대한 자급대책 마련에는 뒷전이다”고 지적했다.

 

오씨는 "우리나라의 휴경면적이 전체 농지의 2.6% 달하는 만큼 휴경지를 이용한 사료작물 재배를 늘려 원료곡 자급도를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오씨는 특히 "휴경지에서 옥수수와 자운영 호밀 보리 등 청정 사료 원료곡을 생산, 고품질의 한우를 사육하면 자연히 수출 경쟁력도 강화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