潘외교 "한미일, 북핵 실질진전에 협력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은 16일 제3차 북핵 6자회담과 관련, "한.미.일 3국은 이번 3차 6자회담에서 북핵 문제의 실질적 진전이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반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세종로 외교통상부 청사 브리핑룸에서 가진 정례브리핑에서 "한.미.일 3국은 지난 13∼14일 워싱턴D.C. 3자협의회에서 그동안 6자회담 과정에서 논의해온 북핵문제의 주요 사안을 폭넓게 협의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6자회담 전망과 관련, 반 장관은 "우리 정부가 제의한 3단계 방안과 핵동결 대 상응조치 등을 통해 실질적이고 가시적 성과를 거두기 위해 노력하고자 하는 것이 한.미.일 3국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의 핵폐기) 원칙과 관련, "중요한 것은 표현보다는 거기에 담긴 원칙이 더 중요하며 그런 원칙을 실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용어 자체가 큰 문제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반 장관은 "오는 29일부터 7월 3일까지 ARF(아세안지역안보포럼) 회의가 열리는 자카르타에서 백남순 북한 외무상과의 양자회담을 추진중"이라며 "현재 유엔과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북한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용산기지 이전협상을 위한 특별회의와 관련, 그는 "베이징에서 6자회담을 마친 뒤 거기에 참가한 미국측 대표들이 서울로 와서 협의를 가질 수도 있다"고 말해 이달 말에 한미간 특별회의가 열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된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북핵문제 해결방안과 관련, 반 장관은 "우리 정부가 취한 입장과 마찬가지"라며 "북한이 핵포기를 전세계에 공표하고 국제적 검증체계에 의해 사찰을 받는 경우 우리는 북에 안전보장과 경제원조는 물론, 북이 국제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모든 길을 열어주고 지원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6.15 국제토론회에 참석한 리종혁 북한 아태평화위 부위원장이 펜티엄급 컴퓨터의 북한 반입금지 문제를 지적한 것에 대해 그는 "이는 단순히 남북한 차원이 아니고 핵무기 관련한 국제적 수출통제체제와 관련된 문제"라며 "(북한의) 핵무기나 핵개발 의혹이 해소되면 자동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