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수렴없이 추진" 환경분쟁 심각

 

도내지역에 환경문제로 자치단체-주민들간에 내홍을 빚고 있는 지역이 10여 곳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들은 서로 '지역이기주의'와 '주민의견수렴미비'를 내세우며 감정싸움으로까지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다 해마다 분쟁지역이 늘어나고 있어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특히 자치단체들도 충분한 의견 수렴 없이 개발에 나섰다 뒤늦게 주민들의 민원에 시달리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점에서 자치단체의 의식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북환경연합등에 따르면 20일 현재 도내에 환경문제와 관련해 주민들과 자치단체간의 진통을 겪고 있는 지역이 10여 곳에 이르고 있다. 특히 이 곳은 관계당국이 수시로 설득 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주민들의 입장이 워낙 강경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자치단체 관계자의 설명이다.

 

완주군 용진면 두억마을 주민 20여명은 지난 2일부터 건설업체의 석산공사를 막기 위해 집회를 열고 있다. 석산공사가 시행될 경우 소음과 분진 등의 피해가 고스란히 마을 주민들에게 돌아올 것이고 환경훼손으로 인해 '유기농 마을'이라는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이 올 것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또 정읍시 덕촌면 우덕리 주민 6백여명도 지난달부터 마을 인근의 소각장 증설에 반대하며 시에 수차례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이들은 기존의 소각장으로도 환경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소각장 증설 불가는 물론이고 이미 설치된 소각장을 다른 곳으로 옮겨달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밖에도 지난 9일 정읍시가 브루셀라에 감염된 소 수십마리를 신태인읍 산정마을에 매장했다가 12일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이처럼 주민들이 환경문제와 관련된 자치단체의 사업에 거세게 반발하는 것은 자치단체가 사업추진에 나설 때 주민들의 의견수렴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 환경단체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자치단체 관계자는 "주민들의 의견 수렴과정이 일부 미흡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주민들도 조금의 양보 없이 자신들의 주장만을 되풀이하는 것도 문제다”며 "결국 자신은 피해를 입지 않으려는 지역이기주의가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