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지킴이 '평화 생태호수 살리기 주민모임'

'평화 생태호수 살리기 주민모임'이 전주 지시제에서 환경정화활동을 펼치고 있다. (desk@jjan.kr)

 

NGO세상, 동네 주민들이 열어간다.

 

시민운동이 변하고 있다. 기존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전개되던 '시민운동'이 지역 현안을 주민 스스로 해결하는 '주민운동'형태로 탈바꿈하고 있다. '생각'하는 시민운동에서 '실천'하는 주민운동으로 확산되면서 NGO 지형도도 확 바뀌고 있다.

 

주민공동체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평화 생태호수 살리기 주민모임'. 전주시 평화동 지역 모임인 '평화 생태호수 살리기 주민모임'은 지난해 6월 주민 스스로가 만든 자립형 NGO다. 일반 시민단체처럼 사무실은 없지만, 짜임새있는 조직력을 갖추고 있어 활동을 하는데에도 전혀 손색이 없다. 오히려 뜻있는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인 모임답게 왕성한 활동력을 과시해오고 있다.

 

이들은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 된 도심 속 저수지, '지시제'를 주 활동무대로 삼고 있다. 지시제는 주변에 산책로를 끼고 있어 하루에도 수 백명의 주민들이 오고가는 '동네 명소'다.

 

택지 개발에 따른 '매립'이냐, 자연 생태 가치가 높은 '보존'이냐를 놓고 존폐의 갈림길에 놓인 저수지이지만, 주민들 사이에서는 지시제 보존에 이견이 없다.

 

이 모임이 발족한 뒤 지시제는 생태 저수지로 탈바꿈하고 있다. 주민들이 매달 한번씩 어김없이 저수지를 찾아 대청소를 벌여왔기 때문이다. 주민들이 버린 쓰레기를 줍고, 저수지 수면에 떠오른 부유물질도 건져내고, 썩은 나뭇가지나 풀을 걷어내 수질오염원을 꾸준히 차단해왔다.

 

하지만 단순한 저수지 환경 정화에 만족하지 않았다. 이 모임은 저수지 보존을 위해서는 생태 가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어류와 수질 조사를 거쳐 대대적인 생태 저수지 만들기에 나서고 있다.

 

이 모임은 지난해 11월 황소개구리에 의한 어종 고갈 현상이 심각하다는 김익수 전북대 교수의 어류 조사결과를 토대로 오는 7월3일 첫 '황소개구리 퇴치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평화 생태호수 살리기 주민모임'이 등장하기 까지는 현 사무국장을 맡고 있는 이원택씨(38)의 역할이 컸다. 이씨는 시민행동21 사무처장을 역임한 시민운동가. 시민단체에 오랫동안 몸을 담았던 그는 '주민운동이 활성화되지 않고서는 시민운동도 한계에 부딪칠 수 밖에 없다'는 고민 끝에 결국 단체를 박차고 주민 속으로 뛰어들었다. 그는 생태 가치를 점차 잃어가는 지시제 보존을 위해 '저수지를 살릴 주민을 찾는다'는 플래카드를 내걸고 결국 회원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올해 6월로 꼭 1년을 맞는 모임의 회원수도 90여명에 달한다. 무엇보다 참여하는 '정예 회원'들로 구성돼 있다는 게 모임의 자랑거리다. 별도의 회비 부담도 없다.

 

이원택 사무국장은 "운영위원 7명이 월 1만원씩 내는 회비를 제외하고 일반 회원들로 부터는 회비를 받지 않는다"면서 "회원들이 노력 봉사만으로도 이미 회비의 가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