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배기가스기준 대폭 강화
다임러와의 합작 무산으로 7월1일부터 강화되는 배기가스 기준에 맞춘 엔진 생산이 어렵게 돼 현대차 전주상용차공장이 최대 위기를 맞게 됐다.
이에따라 현대차 도내 50여개 협력업체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돼 전북도 차원의 적극적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개정된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라 다음달 1일부터 일산화탄소(CO) 배출 기준 한도가 현행 3ppm에서 2.1ppm으로 강화되는 등 자동차 배기가스 기준이 엄격해진다.
현대차의 경우도 이 기준에 맞춰 다임러와 합작으로 2000년도 완주군 봉동읍 소재 전주과학산단에 신엔진공장을 설립했다. 그러나 지난달 다임러와의 합작이 무산되면서 다임러 기술이 포함된 20% 정도의 시설 교체가 불가피하게 됐다.
현대차는 소형과 대형 부문에서는 자체 기술을 확보, 7월부터 강화되는 배기가스 규제 변경을 충족시키는 데 문제가 없으나 다임러로부터 핵심기술로 공여받을 예정이었던 5t,8t급(KK엔진) 등 중형의 경우 양사간 전략적 제휴 해소로 기술제휴가 무산되면서 이부문 생산차질을 빚게 됐다.
현재 현대차는 합작 무산 이후 신엔진 독자 개발에 들어갔으나 개발 엔진에 대한 시험 테스트와 일부 라인에 대한 교체 공사 일정을 감안하면 앞으로 최소 3개월에서 최대 6개월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로 적용되는 배출가스 허용기준에 맞춘 엔진 장착이 어렵게 되면서 전주상용차 공장의 정상 가동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경우 협력업체들도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협력업체 관계자는 "3개월 이상 생산 차질을 빚는다면 자금력에 여유가 있는 업체는 몰라도 그렇지 못한 많은 업체들의 경우 정상적 납품을 못해 줄도산 사태를 빚을 것이다”고 걱정했다.
이 관계자는 다임러와의 합작무산이 예측하기 힘들었던 돌발상황이었던 만큼 현대상용차 관련 협력업체들의 도산을 막을 수 있게 일정기간 법적용의 유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정력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