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냐 규격에 맞춘 행사냐, 그런 행사를 토론회라고 할 수 있느냐”
지난 9일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한 지역혁신발전 토론회가 끝난 뒤 이를 지켜본 도민들은 많은 불만을 토로했다. 짧은 시간에 갖은 구색은 다 맞추다 보니 토론은 사라지고 사전각본만 보이더라는 것이다.
사실 토론회 참석자들은 사전에 준비된 질문지를 읽기에 쫓기는 모습이 역력했다. 한 시간이 겨우 넘는 짧은 시간에 지역혁신발전계획을 보고하고 인사말을 하다보니 정작 토론할 시간은 30분 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준비과정에서 부터 예견된 것이었다. 전북도는 짧은 시간에 지역의 실정을 제대로 알려야 한다는 부담감을 갖고 토론자들에게 질문시간과 주제를 명확히 한정해줬다. 지역에서 절실히 원하는 사업일지라도 답변시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있는 내용은 최대한 배제했다.
그럼에도 처음부터 무리한 시간일정은 토론회의 내용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초스피드로 진행되는 질문과 관계 장관의 간단한 답변은 토론회라기 보다는 오히려 단답형 구술시험을 보는 듯했다.
그러나 토론회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은 시간에 쫓긴 토론회 과정 때문만은 아닌 것 같다. 그보다는 이날의 결과가 기대에 훨씬 못미쳤다는 점이 이들을 허탈하게 만든 듯했다.
대통령이 지역에 내려오는 경우는 1년에 한 두번 정도에 그친다. 지역 주민들은 이 기회에 지역의 실상을 제대로 알리고 최대한 협조를 얻어내려고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토론회는 시간에 쫓겨 허겁지겁 마무리된다. 주민들의 입장에서는 항상 아쉽고 안타까울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대통령이 참석하는 행사를 시나리오 없이 진행하기는 부담스러울 것이다. 시간이용의 효율성도 떨어지고 좌충우돌 어떤 돌발변수가 생길지 알기 어렵다.
그러나 사전에 질문지를 교환하고 시나리오를 함께 점검하는 등의 절차를 거치면 진짜 목소리는 토론회의 형식속에 묻히게 된다. 다음부터는 좀더 시간을 가지고 지방민들의 진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토론회가 마련되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