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침략전쟁 패전 후 중국이 대일강화의조건으로 독도와 대마도를 조선에 귀속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검토한 사실이 최근 공개된 중국 외교부 문서에서 밝혀졌다.
1일 요미우리(讀賣) 신문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1950년 5월15일자 '대일 평화조약에 있어 영토문제와 주장에 관한 요강초안'이라는 문서에서 일본의 섬들이 미국의 군사거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우려, 자국을 비롯한 인근국가에 귀속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문서는 "미 제국주의가 군사기지를 적극 확장중"이라며 "미 제국주의의 지원아래 일본이 다시 영토확장의 야심을 품는 것을 막기위해 대외 침략거점이 될 수 있는일체의 섬을 삭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서는 오키나와(沖繩)의 경우 중국, 북방 4개섬은 구(舊) 소련, 독도와 대마도는 조선에 각각 귀속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1950년 2월에 조인한 중.소 우호조약에서 대일 평화조약 조기체결 의지를 피력했었다. 따라서 이보다 3개월 뒤 만들어진 외교당국의 이 문서는 당시 중국정부의 대일전략 마련에 활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중국은 당시 대만과의 대립으로 인해 1951년 9월 조인된 연합국의 대일 강화조약(샌프란시스코조약)에 초청받지 못했다.
중국은 당시 이 조약의 '불법성'을 주장했는데 이는 자국의 입장이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요미우리는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