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진학이나 취직을 하지 않으면서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이른바 'NEET족(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族)'이 2010년에는 100만명에 육박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다이이치(第一)생명경제연구소는 1990-2000년의 니트족 비율과 증가추세 등을종합해 추산한 결과 2010년에는 니트족이 98만4천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21일 밝혔다.
2000년 75만1천명이던 일본의 니트족은 내년에는 87만3천명으로 늘어날 것으로추산됐다.
이 연구소는 니트족이 증가하면 "소비억제와 노동인구 감소로 잠재성장률이 하락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지적, "조속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니트족의 소비억제로 작년의 경우 일본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0.15% 포인트낮아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연구소는 니트족 증가에 따른 노동인구감소 등의 영향으로 2000-2005년 일본의 잠재성장률이 약 0.25%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니트족은 의무교육만 마친 후 진학이나 취직을 하지 않으며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젊은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일할 의사가 있는데도 일하지 못하고 있는 '실업자'와 구분해 '무업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로 부모에게 기생해 생활하며 돈이 필요할 경우 1∼2일간 아르바이트를 하기도 한다. 1990년대부터 고용환경 이 악화된 일본은 고학력자가 이들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취업에 대한 의지가 없고 일에 대한 의욕을 상실한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