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교수 2명이 밝힌 새만금 신구상에 대해 최근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전북도청지부가 발표한 규탄성명이 발단이 됐다.
전북민주화교수협의회가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전북도청지부를 겨냥, 학문과 사상의 자유를 침해하는 월권행위라며 강력 반발하는 내용의 성명을 내자, 이번에는 전북대 새만금연구사업단 교수들이 새만금 사업 지속추진을 주장하는 성명을 냈다.
다양성과 전문성으로 대표되는 상아탑에서 교수들이 성명을 통해 특정 주장이나 입장을 피력하는 일은 색다를 게 없다.
새만금사업과 같은 매머드급 국책사업에 상아탑에서 일치된 견해가 나오기는 매우 힘들 것이다. 오히려 전공이 다른 수백명의 교수들이 일치된 견해를 내놓는다면 그것이 이상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땅히 소수 의견도 존중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13일 전북대 새만금연구사업단 교수들이 발표한 성명서는 다소 유감스럽다.
‘지역의 정서를 무시하고 지역과 국가발전을 저해하는 언행은 삼가야 하며, 비논리적·소모적 논쟁을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는 교수들의 주장은 새만금과 관련, 다른 견해를 가진 교수들이 평지풍파를 일으키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물론 새만금사업이 낙후 전북에 비전과 희망을 제시할 수 있는 중대 현안임에는 틀림없지만, 대학의 모든 구성원들이 한 목소리를 내거나 침묵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전북대 모교수가 반대의견을 제시, 새만금사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소속 대학에 연구사업비 지원 중단을 촉구한 공노총 전북도지부의 주장도 이같은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성명서 공방보다는 대학사회내에서 이견을 가진 교수들끼리의 진지한 토론이 앞서야 했다.
다분히 감정적인 성명서 공방 자체가 그야말로 전북의 희망인 새만금 사업의 발목을 잡는 소모적 논쟁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