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따구리] 사상누각(沙上樓閣)

2006년 5월에 실시되는 전국 동시 지방선거가 임박해 오면서 열린우리당이 지방의회를 선점키 위한 일선 조직체계 정비가 숨바쁘게 돌아가고 있다.

 

이에 발맞춰 임실지역은 오는 14일 당협의회장과 운영진을 선출키 위해 기간당원에 한해 자율선정에 따른 투표를 실시한다.

 

이번에 등록된 기간당원은 1천2백명에 못미치나 이들이 발휘하는 힘은 향후 단체장을 비롯 도의원과 군의원 등의 선출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우리당 지역대표를 뽑는 이번 선거를 위해 임실군협의회장 후보와 청년 및 여성위원장 후보들은 기간당원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다.

 

이는 자신이 추천한 당원이 많을수록 선거에 유리,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한 입당도 부지기수라는 것.

 

당 지역대표는 과거로 치면 시·군지구당 사무국장이나 연락소장 격으로 당원간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리다.

 

옛날같으면 군의원이나 도의원 정도는 쉽게 내천이나 공천을 주물렀고 단체장 공천에도 결정적 지명권을 행사하는 위치다.

 

때문에 이 자리를 두고 차기나 차차기 단체장 선거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자리다툼이 눈에 보이지 않게 펼쳐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 투표가 그동안 쌍방간이 노력한 결정체에 엄청난 회오리를 몰고 온다는 점을 이들은 미처 예기치 못하는 것 같다.

 

우선적으로 이번 기간당원 모집에는 후보자 말고도 2006년 지방선거와 관련된 군의원과 도의원, 군수 후보들이 대거 개입했다는 점이다.

 

모 군의원은 3백명, 모 군수후보는 2백명 등 단기간 경쟁차원에서 급조한 당원들이기 때문에 지지후보가 탈락될 경우 대규모 탈당사태는 뻔한 이치.

 

더욱이 기초와 광역, 단체장 후보간의 계파가 뚜렸히 분리되면서 선거가 끝난 뒤에는 상호간의 비난과 갈등 등 심각한 후유증도 예견되고 있다.

 

급기야 일부 당원들이 양 후보에 추대형식을 제안했으나 이마저도 결렬돼 전북도당이 배려한 자율선정 방식이 오히려 역효과를 자초했다는 비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