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조정권고안에 대한 정부의 수용거부 발표가 나오자 찬반 단체들이 성명서를 통해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정부 수용거부 찬성측= 새만금 완공 전북도민 총연대는 29일 기자회견을 통해 “새만금 사업은 지난 99년부터 2년간 사업이 중단되면서 8백억원의 손실이 발생했고 2003년 보강공사 중단으로 하루 3억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강조한 뒤 “법원의 조정권고안을 정부가 수용하지 않기로 한 것은 당연한 결정이며 재판부는 행정과 입법부의 의견을 존중해 현명한 판단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재판부가 새만금 사업에 대해 사업중단이라는 오판을 내릴 경우 생존권을 지키기위해서라도 강력히 투쟁하겠다”고 재판부를 압박했다.
전북도의회는 29일 정부의 수용거부 입장과 관련, “지극히 편협한 시각을 가진 환경단체들의 반대여론에도 불구하고 지속추진 입장을 밝힌 정부의 결정에 경의를 표한다”며 “정부는 앞으로 중단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사업을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
전주시의회도 지난 28일 임시회 개회와 함께 ‘음해세력을 강력히 규탄하며 지속적인 사업투쟁을 위해 온몸으로 투쟁해 나갈 것이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사업추진 반대 환경단체=정부가 법원의 새만금 조정권고안을 수용하지 않겠다고 밝히자 전북지역 환경단체는 정부와 전라북도가 앞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성명서를 통해 “새만금 조정안 거부는 국가 장래와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고려하지 않는 개발정책의 상징이자 시대를 역행하는 관료행정의 표본”이라고 비난했다. 특히 “전라북도가 조정권고안은 전북을 음해하는 세력이라고 매도하고 여론몰이에만 급급해 하고 있다”며 “앞으로 판결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문제의 책임은 조정안을 거부한 정부와 전라북도에 있다”고 주장했다.
전농 전북도연맹도 29일 오전 11시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와 전북도는 조정안을 즉각 수용하고 관변단체와 기득권세력을 동원한 각종 지속추진 활동지원을 중단하라”며 “언론의 편파보도 중단과 어민생존권을 보장하라”고 주장했다.
새만금 연안 피해어민들이 참여하는 어민생존권 보장 도민 결의대회도 29일 오후 3시 전북도청 광장에서 열렸다. 어민 등 2백여명과 이날 오후 열린 민중대회에 참가한 1백여명 등 3백여명이 참석한 이날 대회에서는 새만금 연안 어민들의 피해상황을 전하고 생존권 보장을 위해 해수유통 확대를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