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지속 추진을 줄기차게 주장해온 이 지역 민간단체들은 이날 정부의 항소 결정을 반겼다.
전북애향운동본부는 6일 “200만 도민들은 수많은 현안과 사업이 좌절과 실패의 경험을 당하면서도 새만금사업이 있었기에 묵묵히 견디어 왔다”며 “이번 판결에 대한 항소는 당연한 귀결이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이번 기회에 정부는 새만금 방조제 완공의 지속추진 방침과 함께 내부 8500만평 토지이용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전북도의회도 사업의 지속추진을 결의했다. 의회는 5일 “법원이 법률적으로 명백한 판단을 내리지 않고 오히려 실타래를 꼬이게 한 이중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또다시 사회적 갈등을 재연시키고 있다”며 “정부도 새만금사업을 지속 추진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표명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판결 직후 환영 입장을 보인 환경단체들은 이번 정부의 항소 결정을 안타까워 했다.
공식적인 입장표명은 없지만 환경단체들은 1심 판결이 합리적인 대안을 찾기 위한 찬반 협의가능성을 열어둔 기회였지만 정부의 항소로 법정공방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환경단체는 정부가 항소할 경우 2심 재판부에 방조제공사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이정현 기획조정팀장은 “합리적인 대안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정부가 저버린 것이며 아울러 대화의 중심에 설 수 있는 전북도 역시 기회를 놓친 것이다”며 “1심 판결을 존중해 개발과 환경이란 상충되는 문제가 잘 해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