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이 한 번씩 도내 관광지를 찾았다는 얘기다. 반가운 소식이다. 전북도 역시 ‘전북관광, 4000만 시대가 열렸다’고 자랑하기도 했다. 나름대로 관광객이 늘어난 이유와 장소별 분석을 덧붙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면을 들여다 보면 다르다.
이를 테면 부안 읍내 주민 1명이 하루 동안 새만금 사업 현장-변산반도 국립공원-내소사-격포를 둘러봤다면 적어도 수치상 ‘관광객 4명’역할을 하게 되는 셈이다. 만약 이 주민이 부안쪽 관광을 마치고 고창으로 넘어간다면 ‘통계상의 관광객 증가’는 더 늘어나게 된다.
지난 한해 도내 관광지를 찾은 관광객 4100만명은 ‘허수’가 낳은 통계에 따른 것이다.
행정에서 조차 이런 관광객 통계를 믿지 못한다. 문광부와 전북도 조차 공문에서 ‘시·도/연도별 합계자료를 제공하지 말 것’을 권하고 있다. 시도별 합계를 해당 시도의 관광객 총량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그 이유다. 행정이 내놓은 통계를 행정이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물론 ‘관광객 수’의 문제는 다른 지역, 그리고 문화관광부에서도 같은 방식이다. 통계는 있지만 통계를 믿을 수 없는 건 중앙부처도 마찬가지다. 문광부도 외국인의 국내 관광, 내국인의 외국관광 수치정도만 발표할 뿐 국내 관광지 방문 등에 대한 정확한 자료발표는 없다.
그나마 문화관광부는 지난해 관광객 통계를 개선하기 위해 ‘관광지 이용객 실측, 집계 방법 개선 및 실태조사’용역을 통해 하반기부터 몇몇 통계작성 방법을 변경하도록 했다. 눈대중으로 하던 집계방법을 매월 1주에 4일(평일 2일, 주말·공휴일 2일)등으로 규정, 월평균 방문객수를 추정하도록 했다. 통계의 신뢰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올해 전북관광객수는 ‘410만명’으로 줄어들 수도 있다. 관광객 수를 둘러싼 행정의 ‘숫자놀음’이 과연 끝날 수 있을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