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말 출범한 전주사랑실천연합과 전주동부권개발추진위원회는 지난주 시내 모음식점에서 전주·완주간 통합논의를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모임에서는 구체적인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이전까지의 통합논의가 행정기관 및 의회차원에서 이뤄진 것과는 달리 민간이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를 담고 있는 자리였다.
이들 단체의 회동은 최근 전주사랑실천연합측이 ‘지역개발 논의를 보다 큰 틀에서 논의해 보자’고 제의함에 따라 이뤄졌다.
동부권개발추진위 김용식 공동대표는 “동부권으로만 한정했던 개발요구를 전체로 확대하자는 제의에 대해 동감했다”며 배경을 설명한 뒤 “일정부분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조만간 2차 회동을 가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2차 만남때는 ‘전주·완주의 통합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들의 회동자체에 대한 의미에도 불구,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들 단체의 지역대표성 때문이다.
90년대부터 진행되어 왔던 양 지역간 통합논의가 실패하게 된 원인 가운데 하나는 전주시의 일방적 추진에 따른 완주군민들의 반감이었다.
마찬가지로 이들의 통합논의도 완주군에서 보면 민간이라는 옷만 바꿔 입었을 뿐 전주시의 논리를 대변하려는 것으로만 해석된다.
전주사랑실천연합은 지난해 전주시의 발전을 위해 시민들이 힘을 모으자는 취지로 구성된 단체다. 또한 동부권개발추진위는 완주군 일부지역의 전주시 편입을 요구하는 등 전주와 밀접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이들의 논의가 순수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대목이다.
전주사랑실천연합이 전주를 대표하는 단체인 것처럼, 완주를 대표할 수 있는 민간단체를 포함시켜 진정한 통합논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