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부실용역과 직원의 공금횡령 등 일련의 내부 부정과 부도덕적 행태에 대한 사태 인식에 대해 한 원장은 연구원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책임자로서 ‘진지하고 진실한 자성’의 자세보다는 책임 회피성 답변으로 일관해 전발연의 환골탈태에 대한 기대감보다는 오히려 회의감을 느끼게 했다.
이날 기자간담회를 자청한 한 원장은 “물의를 빚게 된 점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 말문을 열었다.
한 원장은 “평가 수행을 위해 14명의 외부 전문가를 위촉했는데 제대로 연락을 취하지 못해 전발연 소속 연구원들이 평가 수행 및 최종 보고서를 작성하게 됐다”고 부실 용역보고서 파문의 배경을 설명한 뒤 “도덕성과 전문성, 객관성에 근거한 책임있는 평가를 수행해야 함에도 과업을 성실하게 수행하지 못했음을 자책한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사태 수습에 대해서는 실제 평가에 참여한 전문가(1명)와 연구원(3명)들의 평가결과를 각 분야 전문가들에게 검수받은 뒤 보고서를 다시 만들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비전문가들이 평가한 결과를 현장 확인도 하지 못한 전문가들에게 자료만 보고 다시 평가하도록 하겠다는 상식밖의 발상을 내비친 것.
그는 또 부실 용역과 직원 횡령 등 일련의 사태들을 연구원 내부 인력의 자질부족 탓으로 돌렸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원직을 유지한 채 전발연 원장직을 맡아 ‘양다리 걸치기’ 비난을 받고 있는데 대해 “책임있는 원장직 수행을 위해 한 쪽을 정리할 생각은 없느냐”는 질문에는 “(돌아갈 곳이 있어) 오히려 전발연에서 더 소신있게 일할 수 있다”는 논리를 강변했다.
한 기관을 이끌고 있는 책임자로서 ‘내 탓’이라는 최소한의 도의적인 책임감보다는 오히려 ‘네(부하직원) 탓’이란 인식을 갖고 있는 한 원장의 “앞으로 분골쇄신해 환골탈태하겠다”는 외침이 왠지 공허한 메아리로 귓가를 맴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