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꽉꽉 틀어막다 보니 그 동안 우리가 절약하는 알뜰살뜰한 지혜를 배우기는 했지만, 실내공기의 순환이라는 자연과의 교감장치는 그만 잃어버리게 되고 말았다. 지금 우리가 ‘새집증후군’ 이라고 하며 부산을 떨고 있는 것도 사실 알고 보면 너무나 기밀성이 뛰어난 창문새시를 사용해서 방안의 공기를 제때 제대로 갈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증상들이다. 그런데 예전처럼 집안 곳곳에 빈틈이 존재하고 있다면, 실내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나 포름알데히드라는 유해물질은 외부공기와 희석이 되면서 조금씩 엷어지게 된다.
요즘 아파트에 비하면 옛날 한옥에는 참 틈도 많았다. 문에는 문틈이 있었고, 벽에는 벽틈이 있었으며, 문종이 자체에도 공기구멍이 성글게 여기저기 나 있었다. 그래서 그걸 가리기 위해서 겨울에는 병풍을 두르고 살았고, 바람이 불 때마다 ‘포르르’ 떨던 문풍지도 달고 지냈던 것이다.
그렇게 흙과 나무와 종이로 지은 집에는 어쩔 수 없이 틈이 존재하게 되는데, 웃풍이 생긴다고 그렇게 미워했던 바로 그 작은 틈들이 밤낮으로 공기정화기 역할까지 했다면 믿을 수 있을까? 그래서 지금처럼 단열을 한다고 꽉꽉 틀어막기보다는 빈틈도 다시 한번 새겨 볼 수 있는 여유가 있어야 하겠다. 집을 지을 때 자연소재들이 만들어내는 그 작고 여린 ‘틈’ 하나가 그 동안 우리가 무심히 잊고 지냈던 자연과의 교감장치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