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인·허가 등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는 직종의 공무원은 날밤을 새는 경우도 있으나 일부 부서는 시간때우기에 급급한 업무도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임실군의회는 지난 22일 제 147회 임시회를 열고 집행부가 요구한 임실군 지방공무원 정원조례 일부 개정조례안을 심의했다.
집행부는 현재 595명인 공무원의 정원을 12명을 증원한 607명으로 조정, 원활한 행정업무 수행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증원 내용은 재난관리과 및 과표담당 신설로 5급 1명과 6급 3명, 7급 3명 등에 10명이 필요하고 자체평가업무 1명을 비롯 기타 등 모두 12명.
의회는 그러나 조정 과정에서 일반직 8급 2명을 제외한 10명으로 증원을 확정, 임실군 공무원의 정원을 총 605명으로 최종 가결했다.
하지만 행자부가 규정한 임실군의 공무원 보정정원은 609명으로 당장 올해부터는 공무원 추가 증원에 따른 문제가 발생될 전망이다.
이는 올해 완공 예정인 관촌사선대의 청소년수련원과 공설운동장이 들어서면 8∼10명의 공무원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
더욱이 2006년 완공 예정인 임실읍 하수종말처리장의 경우도 5∼6명이 소요될 전망이어서 이럴 경우 전체공무원 수는 620명으로 늘어날 추세다.
군은 그러나 내년에 복식부기 4명과 2007년 혁신분권 3명, 섬진강댐개발 4명 등 11명이 감소됨에 따라 2008년부터는 594명이라는 변명이다.
이처럼 해마다 자치단체의 인구수 급감에도 공무원 정원이 증가하는 원인 해마다 신규업무가 발생과 업무의 세분화 및 전문화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기존의 불합리한 업무를 통합하고 기능직 등의 활용도를 높여 적재적소의 효율적인 인사정책이 필요할 것”이라는 목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