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경찰이 이달초 각 경찰서별로 도내 27곳에서 한 곳당 5백대씩 총 1만3500대의 자동차를 대상으로 안전띠 착용률을 조사한 결과 운전자는 89.5%, 조수석 탑승자는 85%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 91.4%, 85.4%에 비해 차이는 크지 않지만 어쨌든 광역자치단체중 가장 낮았다.
더욱이 충북 95%, 강원 93.3%, 전남 92.5% 등 안전띠 착용률이 높은 곳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도내 안전띠 착용률이 낮은 것은 높은 교통사고 발생률과 무관치 않다. 경미한 교통사고라도 안전띠를 매지 않음으로써 인명 피해가 커져 교통사고율을 높이는 것이다. 인명피해가 없다면 접촉 사고는 보험처리를 하지 않고 합의·해결돼 경찰이 사고조사에 나서 교통사고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제는 또 있다.
지난 2월말 전북경찰이 안전띠 착용률을 조사했을 때는 77.8%에 불과했다. 그동안 전북경찰이 대대적으로 안전띠 미착용을 단속한 결과 한 달이라는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안전띠 착용률이 무려 11.7%p나 높아졌다.
단속하면 법규를 지키고 단속하지 않으면 법규를 위반하는 일그러진 모습을 경찰의 통계로 보여주고 있다. 안전띠 착용 등 안전의식 준수는 단속 여부와 관계없이 운전자와 자동차 탑승자가 스스로를 위해 지켜야 할 ‘기본’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안전띠 미착용이라는 ‘가벼운 항목’에서 나타난 준법의식 결여가 신호 위반·과속 등 교통사고와 직결되는 법규 위반으로 이어진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적·경제적 손실로 개인과 가정의 피해는 물론 사회적인 폐해가 막심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기초적인 안전띠 착용부터 실천이 필요하다.
덧붙이고 싶은 것이 있다. 경찰의 단속은 실적주의가 만능이 아니다. 도심에서의 단속 보다는 시내외 연결지역의 안전띠 미착용 단속에 힘쓰기를 운전자들은 희망하고 있다. 과잉 단속은 시민과의 마찰을 야기하기 쉽고 번잡한 도심 단속은 교통흐름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