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북도가 광주식약청과 공동으로 도내 중·고교 학교 위탁급식업소 및 식재료 공급업소에 대해 위생점검을 벌인 결과 78개소 가운데 8개 위반업소를 적발했다. 학교급식을 이용하는 학생들중 일부는 늘 식중독 위험에 노출돼 있는 셈이다.
김제 모고교에서 14일부터 나흘간 차례로 40명의 학생이 설사와 구토·복통등 집단 식중독 증세를 보였다. 그러나 학교측이 교육당국에 이 같은 사실을 보고한 것은 한참 후인 18일 오후다.
그것도 시청 홈페이지에 항의 글이 올라와 보건당국이 현장조사에 착수, 문제가 불거진 후의 일이다.
증세가 경미하다고는 하지만 적지 않은 학생들이 집단으로 식중독 의심 증세를 보였는데도 이를 가볍게 여긴 학교측의 태도는 이해 할 수 없는 일이다. 학교폭력을 비롯, 학교 이미지 손상이 우려되는 사건은 쉬쉬하며 넘기는 일이 관례가 된 듯하다.
아직 식중독으로 판명되지는 않았지만 분명 학생들의 건강에 문제가 생긴만큼 그 원인을 밝혀내고 대책을 마련하려는 노력은 당연한 일이다.
학교급식은 단순히 학교에서 점심 한끼를 때워주는 것으로 끝날 일이 아니다. 자라나는 청소년·어린이들에게 균형잡힌 식사를 제공하고 편식 습관을 바로잡아 주는 역할도 한다.
단순히 몇몇 학생에게 한차례 복통이나 설사가 있었던 일로 지나쳐 버릴 사안은 분명 아니다. 사고후의 대책도 예방책 못지 않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상당수 학교에서 식중독 사고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보존식 관리가 형식에 그치고 있는 점도 문제다.
교육당국은 보존식 보관·관리를 강화, 고의로 보관하지 않거나 훼손한 학교 관계자를 엄중 문책해야 한다. 또 식중독 발생 후 보건당국의 역학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원인조사와 사후 대책도 철저하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업자의 의식전환은 물론,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적극적으로 밝혀 원인을 규명하고 대책을 세우려는 학교와 교육당국의 태도 변화가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