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군이 추진하는 계약방식에 따라 공사수주 건수가 민감하게 작용할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이에 70여개의 관내 일반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들은 군이 어떠한 방식으로 공사를 발주할 것인지에 대해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군관계자에 따르면 정부에서 오는 30일께 수해복구비가 결정되며, 군은 이를 근거로 내달부터 공사를 발주할 계획이다.
현재 계약방법에 대해서는 결정된 사항이 없으며, 입찰과 수의계약을 놓고 장단점을 분석하고 있다.
한편 군은 지난 3일 수해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하면서 1000억 이상의 복구비가 지원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가운데 관내 건설업체에서 수주할 수 있는 공사가 상당수 포함될 것으로 업체관계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지역 건설업체에 할당될 공사에 대해 입찰과 수의계약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면서 “입찰만 고수할 경우 일부업체들이 과잉 수주로 인해 시공능력에 따라 부실공사 및 불법 하도급이 우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원만한 복구공사를 위해서는 관내 건설업체에 일률적으로 공사를 배분할 수 있는 수의계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것.
이에대해 건설업체 관계자들은 “내달부터 발주되는 수해복구 공사는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관내업체들에게 회생의 기회가 되고 있다”면서 “군이 전면 입찰을 고수할 경우 일부업체에 편중될 우려가 높은 만큼 공사의 원만한 진행을 위해서는 수의계약을 통한 배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군은 입찰과 수의계약을 놓고 장단점을 면밀히 검토해 빠른 시일내에 계약방식을 정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