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올해 대회 역시 작년 우승자인 남자부 김이용을 비롯해 형재영, 제인모, 그리고 여자부 이은정, 최경희 등 한국에서 내로라하는 엘리트 선수들도 대거 참가할 예정이다. 이 같은 참가 규모로 볼 때 전주마라톤대회는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메이저 대회 가운데 하나로 손꼽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동아마라톤대회와 비교하면 전체 참가규모는 적지만 엘리트 참가 선수만을 놓고 볼 때는 사정이 다르다. 7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동아마라톤대회에 참가한 엘리트 선수가 20~30명인점에 비해 고작 7년의 전주 마라톤대회에는 90여명의 선수들이 도전장을 내밀었다는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그 만큼 전주마라톤이 ‘한국 마라톤의 산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한 대목이기 때문이다.
사실 전주마라톤대회가 이 같이 빠른 속도로 성장할 수 있기까지는 수 차례에 걸쳐 변화에 변화를 거듭해온 것이 한 몫을 톡톡히 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1만여명의 마니아들이 참가한 가운데 열린 2000년 첫 대회(당시엔 전주~군산 벚꽃마라톤대회)가 대회의 조기정착을 위한 준비과정이었다면, 2001년 두번째 대회는 국제대회로 규모를 확대하는 과감한 실험을 시도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대회인 지난 2002년 전주마라톤대회에서도 세계의 유수 선수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명실공히 국제마라톤대회로서의 모습을 서서히 갖춰가는 듯 했다. 하지만 전주마라톤대회는 대회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새로운 변화를 선택하게 된다.
바로 국내대회로의 전환이다. 엄청난 돈을 들여가면서 외국선수들을 초청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국내선수 육성발굴에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여론이 팽배했기 때문이다.
전주마라톤대회의 변화는 이 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대회에는 새 옷으로 완전히 갈아입는 시도를 했다. 대회코스가 기존의 전주~군산 벚꽃 길 대신에 전주시내를 순회하고, 명칭도 ‘전주~군산마라톤대회’에서 ‘전주마라톤대회’로 바뀌게 된 것이다. 올해에도 전주마라톤대회는 코스를 변경하는 등 또 다시 변화를 선택했다.
이번에는 마라톤으로 인한 교통정체 등 시민들의 각종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어쩌면 전주마라톤대회의 이런 모든 것들이 전국 최고의 마라톤대회로 우뚝 서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또 전주마라톤대회가 지역민과 함께 하기 위한 노력이기도 하다.
이제 전주마라톤대회는 단순한 스포츠 행사가 아니다. 도민축제의 한마당이다. 전북 도민 한 명 한 명이 예외없이 이 축제의 주인공인 것이다.
따라서 변화의 연속선상에 있는 전주마라톤대회의 성공 여부, 즉 국내 최고의 대회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주최측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도 중요하지만 지역민들의 관심과 애정은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제 또 다시 전주마라톤의 실험이 시작됐다. 그 실험의 성공여부는 도민들에게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무리 참가선수들의 기량이 뛰어나고 대회운영이 매끄럽게 진행된다고해도 도민들의 협력과 참여가 없다면 그 성과는 반감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우리 스스로 주인의식을 갖고 역대 최고의 축제가 될 수 있도록 다 함께 노력하는 모습이 필요한 때이다.
/라혁일(전북도체육회 사무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