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 바이오 에너지

최근 유가상승에 의한 국가경쟁력 하락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정부는 올 평균 원유가격을 50∼55달러로 예상했는 데 우리나라 석유의 70%이상을 차지하는 그나마 가장 값싼 중동산 두바이유 현물가가 60달러이상으로 거래되면서 우리 경제의 각종 지표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우리나라의 연간 수입 원유량이 8억배럴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수입단가가 10달러씩만 올라도 연간 80억달러의 무역수지 악화 요인이 발생한다. 이는 8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그 영향은 상상키 어렵다. 이같은 상황에서 나올 수 있는 이야기가 대체에너지개발이다.세계 최대 사탕수수 생산국인 브라질은 1차 오일쇼크가 터진 직후인 1975년부터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알코올로 가는 차량을 개발해 휘발유와 함께 사용하여 현재 브라질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70% 이상이 이중연료 자동차라고 한다.또한 각국에서는 바이오 디젤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바이오 디젤은 경유의 대체연료로, 콩.유채.종려 등의 기름과 알코올을 적절히 배합해 만든다. 유럽연합(EU)은 2010년까지 역내 수송분야 연료의 5.75%를 바이오 디젤로 쓴다는 목표를 정했다. 세계 최대 종려기름 생산국인 말레이시아는 종려기름을,필리핀은 야자열매를 이용한 공장을 건립 중이다.

 

우리나라도 원유도입량의 1/3에 달하는 디젤엔진 연료를 전부 바이오디젤로 대체하면 대기오염과 무역수지의 획기적 개선을 기할 수 있다. 최근 자료에 의하면 남한 전체 경지면적(200만ha)의 1/10인 20만ha로도 충분한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전라북도에는 충분한 바이오에너지 생산공간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농지활용방안으로 바이오 에너지 생산도 고려해 봄직하다.옥수수를 이용하건 유채를 이용하건 실제 작물의 선정 등 여러 논의가 전제되어야겠지만 한없이 올라가며 언젠가는 고갈될 석유를 대체할 국가적 대안인 바이오에너지 거점으로 전라북도가 새롭게 부각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