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방사선 살균기술은 1960년대 우주계획에서의 우주인 식사 프로그램과 군 비축식량 계획에서 최초로 이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대까지는 점차 농산물, 향신료, 가공식품류에 대한 검역처리 분야로 연구가 확대되었다. 이 시기까지는 비용상승, 물류 등의 경제산업적 문제와 방사선 조사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으로 산업화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으나 1990년대 초반부터 WHO/IAEA/ FAO 등 국제기구와 선진국의 보건당국(FDA 등)이 주도하여 방사선 조사식품의 안전성에 관한 과학적 결과를 인정하고 이를 보증하면서 산업화와 실용화가 급속히 확산되었다. 현재 세계적으로 230여종의 식품에 대하여 52개국에서 234기의 식품 및 공중보건산물용 방사선 조사시설이 산업적으로 가동되고 있으며 계속적으로 시설이 늘어나고 있다.
미국의 경우, WTO 체제의 자유무역체제에서 식물위생검역 조치의 적용에 관한 일반 협정(SPS)과 무역에 대한 기술적 장해에 관한 협정(TBT)에 의해 정부 주도하에 방사선 조사식품의 보급에 전력을 기울여왔으며, 클린턴 행정부는 2000년 2월에 USFDA 및 농무성을 통하여 수출 및 자국내에서 유통되는 모든 육류 및 부산물에 방사선 조사기술 도입을 결정하였다. 영국에서는 1991년 2월 13일 이후부터 과실류, 채소류, 곡류, 구근류, 향신료, 조미료, 생선, 어패류, 및 닭고기를 허용선량까지 방사선 조사를 허가하였다. 일본은 연간 15,000톤 이상의 감자가 방사선 조사되어 생감자 및 가공용으로 유통되고 있고 식품의 방사선 조사 규제폐기를 서두르고 있다. 중국의 경우 연간 150,000톤 이상의 농산물과 식품에 방사선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IAEA에 보고된 대형 감마선 조사시설(11기)과 30만큐리 이하의 시설을 포함하여 총 154기의 방사선 조사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핵 청정국가인 호주도 자국내 동식물의 안전 검역을 위해 방사선 조사기술을 전면 수용하였으며(2002년 2월), 유엔의 국제 환경 위원회(UNEP)에서는 화학약품(methyl bromide, ethylene oxide 등)의 대체기술로 방사선 조사기술의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는 한국원자력연구소 주관으로 다양한 농수축산식품의 방사선 살균 산업화 기반연구가 수행되어왔다. 현재 우리나라의 방사선 조사 허가품목은 총 25개 품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산업적으로는 1987년 경기도 여주에 산업적 다목적 감마선 조사처리 시설이 준공되어 현재 가동 중이나, 2005년 160개 업체에서 2,500여톤 정도가 처리되는 수준에 불과하며 이 또한 주로 수출품목에 국한되고 있다.
최근의 학교급식 집단 식중독 사고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식품 유래 질병은 아직도 여전히 국민보건을 위협하고 있으며 오히려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식품의 방사선 조사기술은 식품의 생화학적 변화를 최소화하고 식품위생학적 위해성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유해미생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강력한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매우 안전한 식품 위생화 기술이다. 그러나 “방사선”은 그 안전성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에게는 막연한 두려움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기술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의 이해 증진이 필수적이이다. 현재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연구원에서는 식품의 방사선 조사기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확산과 소비자 교육, 정부기관-산학연-소비자단체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사선 조사식품 연구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실행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식품류에 방사선 조사의 필요성과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면 우리나라에서도 방사선 식품조사 기술의 실용화가 확산되어 국민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변명우(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이용연구부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