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 나라의식

새도 짐승도 슬피 울고 산천마저 찡그렸는데/ 무궁화 삼천리 강산은 이미 깊이 가라앉았네/ 가을 등잔 아래 책장 덮고 옛 역사 생각하니/ 사람중에 배운 사람 노릇이 이렇게 어렵도다.

 

매천(梅泉) 황현(黃炫)의 그 유명한 절명시(絶命詩)이다. 1910년 국치(國恥) 소식을 듣고 번뇌하는 지식인의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당대의 시인이던 매천이 전남 구례 은거지에서 독배를 들고 자결하면서 유서와 함께 남긴 최후의 절구다.

 

매천은 절명시와 함께 가족에게 당부의 말을 남겼는데, 가족이라기 보다는 만 백성들을 향한 비장감의 메시지를 보는 것 같다.

 

“…별 인물도 아닌 내가 꼭 죽어야 할 이유는 없으나 , 이 나라가 선비를 기른지 500년에 기어이 나라가 망한다는데 한사람도 목숨 바치는 이가 없다면 그 또한 얼마나 가슴 아픈 일이냐. …평소 책 읽은 바를 저버리지 않으려고, 이제 죽음의 긴 잠에 들려 하노니, 내 마음 자못 통쾌 하도다. 너희도 너무 슬퍼말라” 나라 뺏긴 책임이 마치 매천 자신에게 있는 것처럼 죽음으로써 선비의 도리를 다하려는 절개가 배어있다. 꼿꼿한 선비의 표상이다.

 

이에 앞서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위암 장지연이 국권 찬탈을 두고 피울음으로 통곡한 사설도 나라 사랑하는 의식이 어떤 것인지를 잘 보여준다. “저 개 돼지만도 못한 우리 정부의 대신이란 자들이… 칼로 배를 가르지도 못하고서 뻔뻔스럽게 세상에 다시 섰으니” 등의 과격한 표현을 쓰면서 매국노들을 질타했다. 너무나 잘 알려진 ‘오늘 목놓아 크게 우노라’가 그것이다.

 

어제가 광복 61주년이었다. 광복의 그날이 있기까지엔 극일정신이 36년간 이어져 왔고 매천이나 위암 같은 나라 사랑하는 기개와 용기, 희생이 그 바탕이었음은 물론이다.

 

최근 한국청소년개발원이 한.중.일 3개국 청소년 2,939명을 대상으로 역사인식과 국가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더니 한국이 가장 약한 것으로 나왔다. '전쟁이 일어나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일본 청소년 41.1%, 중국 14.4%, 한국 10.2%였다. 지배를 많이 받았던 나라의 청소년들의 국가관이 왜 이렇게 낮은가. 목숨을 내던지며 나라를 지키려 했던게 채 100년도 안된다. 무엇이 이렇듯 큰 변화를 몰고왔는가. 매천과 위암이 하늘에서 통곡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