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4기 도정이 경제살리기를 제1의 목표로 내세운 것에 발맞춘 첫 걸음이다. 기업유치는 세원증가와 실업률 감소 등 지역경제에 직접적인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경제살리기 전략의 핵심이다.
전북도는 지난한해 동안 407개의 업체를 유치, 지역발전의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단순 수치만으로 놀라운 실적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략적이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유치기업의 30% 정도가 첨단산업과는 무관한 업종이었고, 신소재나 반도체, LED 등 첨단 및 유망업종은 소수에 불과했다. 음식료품 가공 및 목재·석재가공 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일부에서는 ‘배부른 소리’라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최근 몇년사이 전북도는 과거의 소비시장에서 생산시장으로, 단순 제조업에서 첨단 기계부품으로 산업구조가 전환되는 등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그렇다고 전북의 변화속도가 외부에서 진행되고 있는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자칫하면 외부의 경쟁에서 밀린 ‘한물간 트랜드’만을 받아들여 낙후격차를 줄일 수 없다.
기업유치도 마찬가지다. 기업유치의 숫자가 중요한 시기는 지났다. 장기적인 발전계획에 따라 20년후 지역경제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기업을 전략적으로 유치하는게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