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지난달 언론을 통해 보도됐고, 당사자 스스로 폐교 임대 계약과정을 어긴 일부 과실을 시인하고 사과한 내용이다. 수사의뢰를 촉구하고 나선 최 위원은 “어느 누가 봐도 의심할 내용”이라면서 “도의회 등에서 이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며, 교육위 차원에서 한 번쯤 정리하고 가야한다”고 문제 제기 배경을 밝혔다.
당사자인 박 위원은 “40년 교육자 생활동안 누구에게 모욕받을 만큼 부도덕한 삶을 살지 않았다”면서 “동료 위원의 형사고발, 부당이득 주장에 교육자로서 교육위원으로서 자괴감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다른 동료 위원은 “교육위원 9명의 자존심과 위상이 손상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면서 유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교육계 주변에서는 이날 사건이 지난 도교육위원회 의장 선출과정에서 빚어진 당선자측과 낙선자측의 갈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그간의 일부 공식 오찬 등에 낙선자측 위원들이 참여하지 않아 교육위 주변에서는 “상대측과 밥도 같이 먹으려 하지 않는다”는 말이 떠돌기도 했다.
선출직인 교육위원은 높은 도덕성을 요구받는다. 도덕적으로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짚고 넘어가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이번 사안이 교육위 내부의 갈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비춰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교육위원들은 교육가족들이 도덕성 못지 않게 교육발전을 위한 의정활동 노력도 함께 지켜보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