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 자장면 논란

즐겨먹는 음식에도 세대차가 있고 입맛도 세월따라 변한다지만, 자장면은 예외다. 100년의 역사를 자랑하며 모두가 즐겨먹는 대한민국 대표 외식 메뉴다. 그래서 문화관광부가 지난 7월 선정한 ‘우리 민족의 문화상징 100개’에도 당당히 뽑혔다. ‘중국에서 유래됐지만 가장 서민적이고 누구나 즐긴다’는 이유에서다. 전국에 있는 중국음식점은 약 13만 곳. 여기에서 하루 팔리는 자장면은 대략 700-800만 그릇. 하루매출만 200억 원이 넘는다.

 

자장면은 한자로 작장면(炸醬麵)이라 쓰고 차오장면 또는 차오지앙미엔이라 읽는다. 백과사전에는 ‘돼지고기 양파 생강 등을 다져 중국된장과 함께 볶아 국수위에 얹은 한국요리’라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작(炸)은 ‘불에 튀긴다’, 장(醬)은 된장 등의 발효식품, 면(麵)은 밀가루로 만든 국수를 뜻한다. 중국음식점에 흔히 붙어있는 ‘짜장면’은 잘못된 표현이다. 또 ‘짱깨’라는 말은 자장면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이를 나르는 철가방은 ‘신속함’의 대명사가 되었다. 중국의 베이징이나 톈진방면에서 만들어진 요리가 이와 비슷하나 맛은 전혀 다르다. 오히려 한국 자장면이 중국에 진출, 중국인의 입맛을 사로잡을 정도다.

 

이런 자장면의 유래에는 정설이 없다. 1883년 인천항이 개항되면서 청국지계(淸國地界)가 만들어지고 여기에 거주하는 부두노동자를 통해 퍼진 것으로 알려질 뿐이다. 특히 인천에 차이나타운이 조성되면서 한국에 정착한 화교들이 이 음식에 야채와 고기를 넣어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자장면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정식으로 자장면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는 1905년에 개업한 공화춘(共和春)이라는 중국집이 처음이다. 2층 건물로 세워진 이 집을 문화재청이 근대문화유산 관리차원에서 등록문화재 246호로 지정했다. 인천시는 이를 매입, 자장면박물관으로 리모델링할 예정이다.

 

서민들의 사랑을 받는 자장면이 최근 난데없이 화학조미료 논쟁에 휩싸였다. L-글루타민산나트륨(일명 MSG)이 과다하게 들어있다는 것이다. MBC ‘불만제로’라는 프로에 따르면 서울시내 중국집 10곳을 조사한 결과 자장면 1그릇(700g)에 적게는 4g, 많게는 22g의 조미료가 들어있었다. 이에 대해 중식업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발끈하고 나섰다. 자장면의 질이 더 나아지는 기회였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