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 기부문화

한 나라가 선진국이냐, 후진국이냐를 가늠하는 잣대로 서양학자들은 흔히 ‘기부문화’와 ‘자원봉사’를 꼽는다. 대표적인 국가가 미국이다. 록펠러와 포드 같은 실업가가 자신의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고 공익활동에 앞장섬으로써 전범이 됐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아름다운 전통은 빌 게이츠, 워런 버핏등으로 이어지게 됐다.일반 국민들도 기부 참여비율이 89%에 달하고, 1인당 연간 기부금도 120만원에 달한다.

 

이에 비해 우리의 기부문화는 지극히 소극적이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가이자 국민총생산 세계 13위 국가로서 너무 초라한 수준이다.기부문화 확산운동을 펼치고 있는 비영리 공익재단 ‘아름다운 재단’이 발표한 ‘2005년 한국인의 기부지수’는 선진국에 비해 기부라고 말할 만한 수준조차 되지 못하는 우리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평균 기부액은 7만305원으로 조사됐다. 그나마 이 만큼의 기부액도 연말이나 명절 이웃돕기, 수재민돕기등 1회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행히 응답자의 기부 참여비율이 2003년 64.3%에서 지난해 68.6%로 늘어나고, 연평균 기부액이 2003년(5만7859원) 보다 증가추세를 보인 점이 고무적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빈부격차를 줄이고 빈곤층을 돕기위한 논의가 꾸준히 있어 왔다. 대안은 크게 두 갈래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정부의 복지정책이고, 다른 하나는 기부금에 의한 지원이다.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정부 복지정책만을 통해 빈민층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선진국들은 복지체계 강화와 더불어 기부문화 정착을 통해 사회통합을 꾀하고 있다.

 

이제 우리도 기부문화를 확산시키는데 힘써야 한다. 기업들이 마지못해 내는 준조세성 성금에만 기댈것이 아니라 국민 개개인의 자발적 기부행위를 유도할 수 있는여건을 정부가 조성해야 한다. 특히 부유층들의 기부행위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감세혜택을 확대하는등 과감한 정책을 펴나갈 필요가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수지 동향은 소득 상위 20%의 소득액이 하위권 20%의 소득액보다 7.79배나 많은 ‘부(富)의 편재’ 심화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기부를 건강한 공동체를 가꾸는 ‘나눔의 실천’으로 여기는 부유층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