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칼럼] 보시바라밀의 실천 - 도영

도영(송광사 주지·전 조계종 포교원장)

베푼다는 말을 불교에서는 보시라고 말한다.

 

배가 등에 닿을 정도로 춥고 배고프게 지지리도 못살던 시절이 엊그제 같은데 요즈음 우리나라에서 나오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보면 정말 놀랍기 짝이 없다.

 

만약 우리가 버리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만 잘 관리해서 쓰레기가 되지 않게 하여 불우한 이웃들을 도와줄 수만 있다면 사회복지의 차원이 바꾸어 질 수도 있을 것이다.

 

여행중 서울 인근의 역전 대합실에서 느끼는 것은 분명 예전에 비하면 상당히 잘 사는 나라가 된 것은 분명한데 우리들 주변에는 아직도 누군가는 보살펴 주어야 할 이웃들이 너무나도 많이 있다는 사실이다.

 

자본주의가 만들어 놓은 크나큰 모순 중의 하나라고는 할 수 있겠지만 빈부의 격차에 대하여 절감 할 수 있는 현장은 역전 대합실 말고도 곳곳에 산재되어 있는 것 같다.

 

이러한 현실적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반드시 실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금강경에서처럼 누구나가 내 것이라는 소유욕에서 벗어나 아낌없이 베풀 수 있을 때 자연스럽게 부처의 삶을 살아가게 될 것이며 이러한 사람들이 사는 세상을 우리들은 부처님 나라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베품의 실천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물질을 베풀어 주는 것을 재보시라고 하고 마음을 일깨워 주는 것을 법보시라고 하며 위로하고 격려하며 불안한 마음을 안심시켜 주는 일을 무외보시라고 하는데 보시의 실천에는 세 가지 원칙이 있다.

 

이를 삼륜청정이라고 하는데 첫째 베품을 실천하는 사람의 몸과 마음이 청정하여야 한다.

 

가장 윤리적이고 도덕적이며 양심적인 보시의 실천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받는 사람의 몸과 마음이 청정하여야 한다.

 

맑고 청순한 영혼으로 감사하며 받은 것 열배, 백배로 이웃들에게 베푸는 사람이 될 것을 다짐하는 귀한 인연 공덕을 지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는 주고받는 대상물이 청정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양심에 어긋나거나 사회적인 지탄대상이 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삼륜청정보다도 더 중요한 일은 네 가지 상(4상)을 버려야 한다.

 

내가 아니면 안 된다는 상, 너는 너고 나는 나라는 상, 남보다 편하게 대접만 받으려는 상, 영원히 살고 싶어 하는 상이 있으면 진정한 의미의 보시바라밀은 성취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네 가지 상에 머뭄이 없는 보시의 실천은 너무나도 어렵기 때문에 베푸는 것을 도를 닦는 일이라고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단순하게 세상을 살아가는 것보다는 나보다는 남을 배려하고 포용하면서 넉넉하게 베풀면서 살아갈 수만 있다면 이것이 바로 도 닦는 사람의 기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집착과 애욕으로부터 자유로운 보시의 실천자가 될 수 있기를 두 손 모아 간절히 기원하는 바이다.

 

/도영(송광사 주지·전 조계종 포교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