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골프장들이 수익성 악화로 잇따라 도산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 게 엊그제 같은데 우리나라에서도 곧 도산하는 골프장이 속출할 것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부킹전쟁’이라고 불릴 만큼 예약이 어렵고, 이제 막 골프 대중화로 가는 길목에 들어선 마당인데 골프장 도산 운운 하니 관심을 끌만도 하다.
골프장업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 2008년 이후 지방 골프장 중 적자 또는 도산업체가 속출하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공급확대와 세금부담 증대가 그 이유다. 지난주 열린 '미래 한국골프 발전 전략' 세미나에서 밝힌 내용이다. 제주도는 이미 그린피(입장료) 인하전쟁이 시작됐고 내년부터는 영·호남지역 골프장도 공급과잉 시대로 접어들어 골프산업이 전환기를 맞게 된다는 것이다.
전북지역 골프장도 최근 공급이 확대되면서 그린피를 인하하거나 요일별로 탄력적인 요금을 책정하고 있다. 정읍 태인CC와 익산 쌍떼힐CC 등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행정기관의 승인이 나간 도내 골프장은 모두 21개. 이중 취득세와 등록세 등을 내고 정식 등록한 뒤 운영하는 골프장은 8곳에 불과하고 나머지 13개 업체는 모두 미등록 골프장이다.
회원권을 분양해 놓고도 등록을 미룬 채 시범라운딩 형태로 영업을 하는 게 문제다. 따지고 보면 불법이다. 세금과 카트료를 제외한 다른 요금을 받을 수 없는데도 그린피를 정식 등록업체나 똑같이 받고 있어 욕을 먹고 있다. 행정기관이 골프장의 불법영업에 관대하다는 소릴 듣는 건 문제다.
전북에는 앞으로 10곳 정도는 골프장이 더 들어설 전망이다. 지난해 골프장 이용객은 1,780만명에 이르렀다. 그야말로 골프 대중화시대를 맞고 있다. 하지만 대중화로 갈려면 보다 근원적인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특소세 문제다. 스키장과 증기탕의 특소세는 지난 98년 폐지됐는데도 골프장은 지난 76년 첫 부과된 이후 30년이 지나도록 유지되고 있다. 특소세 폐지는 해외로 나가는 골퍼를 국내로 끌어들이고, 수요를 넓히기 때문에 골프장 도산을 막는 길이기도 하다.
골프장 오너도 마인드를 바꿔야 한다. 부킹전쟁이 영원할 것으로 보면 큰 오산이다. 골프장에서도 고객은 왕이 돼야 한다. 돈만 알다 도산하면 손가락질 밖에 돌아올 게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