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에게 쓰는 영상편지, 초등학생들이 털어놓는 외모콤플렉스, 유독 여성에게 엄격하게 작용하는 사회의 잣대…. 시민감독들이 영상으로 담아낸 목소리는 참으로 다양하다. 미디어 소비자로서가 아니라 생산자로 자리를 옮긴 이들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서툴지만 세상을 향해 솔직하게 털어놓는다.
전주시민미디어센터 영시미(소장 장낙인)가 2005년과 2006년 두 해 동안 진행한 미디어교육 참가자들의 작품을 DVD로 묶었다. 창작물 모음집 ‘피어라 영·시·미!’에는 어린이 청소년 주부 성인 장애우 등 계층에 따라, 또 퍼블릭액세스 독립영화 디지털만화 등의 부문으로 나눠 진행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제작된 영상물 80여편을 모아냈다. 영시미 제작지원작으로 선정됐던 작품들도 함께 수록하는 등 다양한 영상언어를 담아냈다.
주부영상제작교실에 참여했던 수강생들은 30여편의 영상편지를 제작했다. 대부분 가족들에게 보내는 따스한 사랑의 메세지다.
부안에서 진행된 영상소외지역 순회교육을 통해서는 주부영상제작단 ‘줌마’가 탄생하기도 했다. 이들은 환경과 먹거리를 주제로한 다큐멘터리를 만들었다. ‘함께 만들어 봅시다-뽕잎과자 만들기’ ‘땅은 숨쉬고 있다’ ‘조은이의 일기’ ‘똥, 자연으로 돌아가다’가 줌마의 작품들이다.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됐다. 이를 통해 제작된 ‘거울아, 거울아(김성은 작)’는 제 26회 동랑청소년종합예술제에서 금상을 수상했으며, ‘비탈을 걷다(최에녹 작)'는 청소년 영상페스티벌 금빛대상을 받기도 했다. 이밖에도 ‘너에게 반짝이는 무언가’ ‘성장통’ 등 청소년들이 제작한 극영화와 다큐멘터리가 모음집에 수록됐다.
단편영화 제작지원작은 기성 작품들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는 평을 받는다. ‘진짜 사랑했다’ ‘red’ ‘가슴에 묻은 연인’ ‘계화갯벌 여전사전 Ⅱ’ 등은 디지털영화제에 출품되기도 했고, KBS 열린채널을 통해 방영되기도 했다.
퍼블릭액세스 강좌를 통한 라디오액세스 프로그램 '오막살이-전북도청부당해고 청소용역노동자 박광순씨 편'과 주부제작단이 만든 '명절표 스트레스로부터 해방을 꿈꾼다!' '중년 여성이 경제활동을 한다는 것', 그리고 '택시 안 1.5평의 서러움-택시노동자 정영만씨 편' '환경농업인 김인택씨 편' 등도 모음집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밖에도 공부방어린이 영상제작교육 중 제작된 영시미뉴스와 방송캠프 수료작, 또 장애우 미디어교육 결과물, 디지털만화강좌 작품 등도 한데 엮였다. 무료로 받아볼 수 있다. 063)282-7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