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박사가 용인 연구원서 연구 재개

SBS '뉴스추적'팀 황 박사 근황 보도

줄기세포 논문 조작 사건으로 서울대에서 파면당한 황우석 박사가 경기도 용인의 한 연구원에서 연구를 재개한 것으로 확인됐다.

 

SBS '뉴스추적' 제작진은 17일 오후 11시 방송에서 용인시 원삼면의 수암생명과학연구원에서 다시 연구를 시작한 황 박사의 근황을 전할 예정이다.

 

제작진에 따르면 황 박사는 전직 기업인과 일부 불교 신도 등의 도움으로 연구를 재개, 경기도 이천시의 개 농장에서 실험용 개와 난자를 제공받고 있었으며 카메라에 포착된 실험복 차림의 황 박사는 제작진의 질문에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다.

 

취재 결과 연구에 합류한 연구원은 16명 정도였으나 황 박사 측은 서울대에서 줄기세포를 함께 연구하던 연구원 대부분이 수암연구원으로 자리를 옮겨 30여 명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제작진은 또 "지난해 12월 이병천 서울대 교수팀이 발표한 복제 암캐 3마리가 황 박사팀이 서울대에서 이미 완성해 놓은 것이며 이 교수팀은 단지 발표만 했을 뿐"이라는 황 박사 측의 주장을 보도하면서 개 복제 관련 특허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황 박사 측과 서울대 수의대의 주도권 다툼을 전한다.

 

'뉴스추적'은 이어 1년간 사실상 중단되다시피한 국내 줄기세포 연구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점차 활기를 띠는 외국의 줄기세포 연구 사례에 비춰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