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은 인간사의 한 일부로서, 인간사 자체에 그 태생적 기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건축은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철학, 예술, 기술 등의 모든 인간사를 망라하는 속성을 갖고 있다.
건축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 건축은 우리가 사용하는 도구, 그릇, 기능, 방법이다. 건축 자체에 목적성을 둘 경우, 그 건축은 사용자인 인간과의 관계가 소원하게 된다. 건축의 기능적 속성을 생각 할 때 건축은 결코 목적 그 자체가 될 수 없고, 사용자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파악되어야 한다.
시, 소설, 수필 등의 문학 작품과 회화, 조각, 그리고 작가 본인이 참여하는 행위예술까지도 포함된 모든 장르의 예술 작품들은 작가 자신의 모습이 되었든, 작가가 보는 세상의 모습이 되었든, 작가의 사상과 작가의 의도가 하나의 방법으로 표현된 하나의 객체로 취급되어진다. 즉, 작품 자체가 하나의 생명으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살펴볼 때 건축은 작가의 소유물이 아니며,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건축이 작가의 의도와 사상 등이 배인 디자인, 건축 언어와 형태로써 구성되어 있다 할지라도, 건축 자체의 개별적 생명력을 갖기 위해 기본적으로 전제되어야할 요소들이 있을 것이다.
건축은 작품과 사용자와의 관계성의 속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다른 예술 장르와 구별된다. 건축가는 그 작품에 대해 의도와 배경에 대해 설명할 수는 있지만, 작품은 완성되고 난 후 사용자의 것으로 돌려지며, 사용자의 수준으로, 기능으로 살아 나가는, 즉 작가에 대해 독립적인 별개의 객체로서 존재하게 됨을 상기해야 한다.
사용자들의 시선을 한눈에 강하게 끌어당기는, 그러나 객관적이든 주관적이든 결국 질리게 하는 엉뚱하고 이상한 건축이라면 그것이 작가의 실험적 의도의 결과라고 하여도, 사용자에게는 실제 사용자가 아닌 작가만을 위한 작품으로 전락하고 만다.
건축은 잠시 감상하거나, 보거나, 만져보는 일시적인 대상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물리적, 정신적으로 몸담는 사용의 대상이기 때문에 건축은 사용자와 건축물과의 관계가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건축이 사용자를 위한 독립된 하나의 생명체라는 인식이 재확인되어야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관점에서 건물을 평가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울 때 더 좋은 건축, 사용자 중심의 건축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건축가·전주대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