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북소방본부는 2783건의 비화재출동으로 1억2200여만원의 소방예산이 낭비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겠다고는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전혀 없는 상태다. 전년에 비해 비화재출동이 22.5%가 급증했지만 이를 예방할 방책은 아직 없는 것이다.
특히 화재신고의 70% 이상이 도시권에서 이뤄진다는 점에서 화재출동 과정에서 수시로 현장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등 구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화재현장에 대한 확인없이 신고를 하는 시민들도 역시 문제다.
화재현장은 보통 10분안에 도착해 진화를 시작해야 건물과 인명 등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오인신고 등으로 중복 출동 할 경우 돌아가는 거리만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신속한 화재진압은 어렵게 된다.
일선에서 화재 현장을 누비는 한 소방관은 “화재출동때 한시라도 빨리 진화에 나서기 위해 신호위반 등 도로 상에서 목숨을 건 곡예를 한다”며 “막상 오인신고나 장난신고인 것을 알고 돌아 올 때면 맥이 탁 풀린다”고 푸념을 늘어놨다.
정확한 현장확인 없이 일단 신고부터 한 뒤 ‘아니면 말고’라는 식의 안일한 인식과 화재현장 확인절차 없는 소방시스템 속에서 소방관들의 어깨는 더 처지고, 시민이 부담하고 있는 세금 역시 의미없이 사라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