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야말로 안하무인이다.
대선 정국에 정당 지지율이 바닥을 기고 있지만, 감투 싸움은 점입가경이다. 엄대우 전 도당위원장 임명을 둘러싸고 계속됐던 내분이 봉합은 커녕 오는 8일 치러질 대의원대회 도당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재연되는 양상이다.
엉뚱하게도 이번엔 도당위원장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장성원 전 국회의원에게 불똥이 튀었다. 장 후보의 당적(서울시당)과 주민등록상 거주지(서울시 대치동)를 문제삼았다. 장 후보가 도당위원장 후보로는 ‘자격 미달’이라는 이의제기가 나온 것이다. 사실 장 후보는 서울시당 당적에도 불구, 그동안 전북도당 고문으로 활동하는데 아무런 제지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상대후보인 엄 후보측에서 이의를 제기한 것이라지만, 도당 선관위가 선거를 불과 닷새 앞둔 지난 3일 중앙당 유권해석을 끝까지 기다리지 않은채 사실상 ‘기습적’으로 장후보를‘등록무효’처리한 것은 특정 후보 흠집내기 등 편파성 시비를 불러올 수 있었다.
이번 무효 결정 과정은 석연치 않다. 당 대표 선출 규정에 관한 당규를 도당위원장 선출 문제에 맞춰 장 후보를 궁지에 몰아넣었고, 유권해석을 지난 2일 중앙당에 의뢰한 지 하루만인 3일 ‘자체 처리하겠다’며, 돌연 유권해석 철회를 요청한 배경도 의아스럽다. 그리고 당일 나온 것이 장 후보의 등록무효 결정이었다.
이번 민주당 도당위원장 선거는 단순히 대선에 대비한 진용 정비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그간의 갈등을 수습하고 통합을 이끌어갈 적임자를 찾는 선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거 초반부터 기대는 무너졌다. 민심 이반을 자초하면지 지지를 호소한다는 게 모순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