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도내에서는 모두 54건의 전선절도로 9만 3198m의 전선을 도난당했다. 이 같은 전선절도는 지난 2004년 도내에서 불과 1건이 발생했었다. 그러나 해를 거듭할수록 그 수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올해의 경우 2월 23일 기준 12건의 전선절도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농촌에서 논에 물을 대기 위해 설치한 전선의 도난까지 포함하면 그 피해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왜 전선을 표적으로 한 생계형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전신주마다 빼곡히 걸려 있는 수많은 전선을 관리할 인력 부족으로 관리가 허술해 전선을 훔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훔친 전선을 고물상에 판매 했을 때 돌아오는 이익도 만만치 않은 점도 작용하고 있다고 볼수 있다. 전선의 피복을 벗겨낸 뒤 구리만을 모아 판매할 경우 kg당 평균 5000∼5500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전선이 도난당했을 때 입게 되는 불특정 다수의 피해는 그 이상이다.
한전이 지난한해 추산한 피해액은 1억 3000여 만원에 달한다. 또한 이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피해액의 3∼4배 정도가 투입돼야 한다.
더불어 전선이 복구되기까지 피해지역 주민들은 원활한 전기공급을 받지 못해 생활에 불편을 겪게 된다.
한전과 경찰은 농촌 등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전선절도 예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기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동반된다면 생활필수품인 전기를 지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