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측은 공식적으론 대화의 여지가 남았다고 말하지만 현재의 분위기로는 다시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대통합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 차가 큰데다, 감정의 골마저 깊어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정파를 단번에 하나의 틀로 묶는 대통합 방식보다는 일단 가능한 부분부터 ‘소(小)통합’을 한 뒤 대통합으로 나아가자는 단계적 통합론이 대두되고 있지만, 현실적인 난관이 만만치 않아 보인다.
역시 ‘특정그룹 배제론’이 뜨거운 감자다.
여기서 대통합의 목적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 범여권의 주장대로라면 한나라당의 집권을 막기 위해 ‘반(反) 한나라’ 세력이 통합하자는 게 대통합의 근본 취지이다.
하지만 최근의 통합 논의를 보면 대통합의 근본 취지를 의심케 한다. 기득권을 버리고 대통합을 추진한다고 하는데, 국민들의 입장에서 보면 대승적 차원에서 양보하는 모습보다는, 통합 이후 정국의 주도권 다툼으로 비쳐지고 있다.
진정으로 대통합을 원한다면 모든 것을 버리고,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다. 같은 맥락에서 최근 통합논의의 최대 걸림돌로 부상한 ‘특정그룹 배제론’이 행여 정국의 주도권과 연관된 것이 아니길 바란다.
대통합이 주도권을 갖기 위한 당리당략에 불과했을 경우, 국민의 냉엄한 심판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범여권은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