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골프장 수는 해마다 늘고 있다. 정식 등록을 마친 골프장과 시범라운딩 중인 골프장을 합치면 모두 15곳이 성업 중이다. 여기에 13개가 추가 조성될 예정에 있다. 이용객 수에 비하면 도내 골프장 수는 아직도 턱없이 부족하다. 공급이 부족하다보니 일부 골프장들의 ‘요금 횡포’가 심각한 수준이다. 거의 안하무인격이다. 제재 근거가 없는 정부나 자치단체 역시 강건너 불보듯하고 있다. 오히려 골프장 눈치를 봐야할 상황이다. 도 담당 공무원은 “예전이 좋았다”고 말할 정도다. 골프장의 잇속을 지켜보고도 이렇다할 손을 쓸 수 없는 현실에 쓴소리를 내뱉기까지 한다. 골프장을 짓기 위해 관공서를 ‘제집 드나들듯이’ 하던 업자들도 일단 골프장만 완공되면 태도가 180도 바뀐다. 곧바로 투자금 회수에 혈안이 돼 그린피 인상 등을 통해 막대한 수입을 올리고 있다. 부담은 고스란히 이용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
지난해 문화관광부가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골프장 1개소당 인구수는 26만명으로, 1개소당 1만4000명인 미국에 비해 무려 20배 가까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시설 과부족 현상은 골프장의 요금 횡포로 이어져 미국의 이용료가 평균 50∼60달러에 그친 반면 한국은 150∼200달러에 이르고 있다. 그린피 인상에 대해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행정당국도 골프장이 늘어나는 것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 포화 상태에 이르기 전, 본전을 찾겠다는 얄팍함이 그린피 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되묻고 싶다. 수 십억원대 적자를 안으면서까지 골프장에 집착할 이유가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