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 바다의 날

우리나라는 지난 1988년 부터 주변 3개 해역을 페기물 투기지역으로 지정해 육지의 쓰레기를 바다에 버려오고 있다. 지정된 해역은 군산 서쪽 200㎞의 서해병 해역을 비롯 포항 동쪽과 울산 남동쪽의 3개소이다.

 

육지 쓰레기는 당연히 육상에 매립장이나 소각장을 설치해 처리해 해양환경을 보호해야 하지만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의식해 이처럼 손쉬운 방법을 택한 것이다. 게다가 해양 투기비용이 육상 처리비용의 7∼ 25% 정도로 싼 것도 해양투기를 부채질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투기가 용이하다 보니 투기량은 매년 늘어 지난 2005년의 경우 무려 1000만톤에 달하는 기록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해양투기로 버릴 수 있는 폐기물은 오수· 분뇨 ·축산폐수및 정화시설에서 발생한 오니, 음식물 처리시설에서 나오는 액체상태의 쓰레기, 준설및 건설공사 오니 등이다. 중금속등 14종의 허용 함량을 지켜야 한다고 규정해 놓았지만 지난해 해양수산부가 투기지역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지역 퇴적층의 오염정도가 기준치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이 규정이 얼마나 허술하게 적용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미 자정눙력을 잃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 곳에서 잡힌 수산물이 우리 식탁에 올라오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는 점에서 심히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전북도와 접한 서해의 경우 이같은 폐기물 해양투기뿐 아니라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룬 중국으로 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이 계속 증가하고있다. 실제 서해안 끝자락 발해만은 세계에서 두번째, 이스라엘의 죽은 바다인 사해(死海) 다음으로 오염된 바다가 됐다. 새만금과 연결된 고군산열도를 국제해양관광지로 개발하려는 전북으로서는 서해의 이같은 오염이 ‘강 건너 불’일 수가 없다. 오염이 이대로 계속돼 서해가 문자 그대로 ‘누런 황(黃)해’가 될 경우 사업의 앞날은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오늘(31일)은 제 12회 바다의 날이다. 바다의 넓이는 지구 표면적의 71%를 차지할 정도로 넓다. 그렇지만 육상의 모든 오염물질을 받아들여 거뜬히 처리해낼 수 있을 정도로 무한정한 자정능력을 가진 것은 아니다. 자정능력의 한계점을 넘으면 바다도 썩기 마련이다. 깨끗한 서해 바다를 가꾸기 위해서는 우선 폐기물 해양투기의 대안부터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