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단의 원로 시인중의 한분이 노무현 대통령 언어는 대통령의 언어는 아니다 라고 했다고 한다.그러면서 이승만과 김대중 전대통령들 어법은 칭찬을 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언어 스타일은 다른 대통령 어법과는 확연히 다르다는 것은 이미 공인된 사실이다. 그렇다고 자유분방한 어법도 아니고 단지 구어체이면서 동시에 공식석상에서 듣기에 매우 불편한 어법들이 많았다. 어느 강연에서 말하길 5년짜리 정권이라 쪽팔린다든 가의 표현은 듣기에 매우 거슬리는 어법임이 분명하다.
인간에게서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한 명언들은 너무도 많다. 철학자 비트겐쉬타인은 인간은 자기가 가진 언어만큼 사고한다고 했다. 미국의 호음즈라는 시인은 모든 언어는 그 사용자의 넋이 간직된 사당(祠堂)이다고 말한바 있다. 다양한 어휘력을 가졌다면 그는 그만큼 사고가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절제된 언어를 사용한다면 그는 그만큼 절제된 정신속에서 살고 있음을 뜻한다. 상스런 욕설을 많이 하면 그의 인격은 그만큼 파괴 돠어가고 있다고 볼수있겠다.
순화된 언어를 사용할수록 그 사회는 그만큼 안정되어지는 것이다.그래서 대통령의 어법은 국민을 위해서도 국어순화의 모범답안이 되어야한다. 지금까지 그나라를 지배했던 인물들은 마음에 와닿는 명언들을 남겨 철학적 훈김마저 느끼게한다.
러시아의 니콜라이 레닌은 “자유가 귀중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너무 귀중하므로 그것은 배급되어야 한다”고 했다. 중국의 모택동은 “전쟁은 전쟁을 통해서만 종식될수 있다. 총(銃)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총(銃)은 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영국의 원스턴 처칠은 구 소련을 “철(鐵)의 장막”이라고 표현했는가하면 중국을 빗대어 “죽(竹)의 장막”이라고 하여 그의 언어 구사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사람에게는 인격이 있듯이 언어에도 어격(語格)이 있는법이다. 그래서 영어에도 4가지 격(格)이있다. 첫째는 격(格)있는 표현법 둘째는 구어체 셋째는 가까운 사람들끼리 함부로 쓰는 속어(俗語) 네 번째는 은어(隱語)나 비어(卑語)이다. 대통령의 어법은 절대로 세 번째의 속어(俗語)는 아니어야할 것이다.